[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그 미학적 특징과 정치적 논쟁점을 중심으로-
...수 있다. 그리고 이태준의 <첫전투>(1948.12)와 <고향길>(1950.7)은 후자에 속한다. 이 소설들은 1947년 말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이후 남로당의 변화된 전술인 ‘미 제국주의와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비합법 투쟁’과 연결되어 있다. 이태준은 중간파로서 남로당 노선에 동의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민민주주의 국가의 평화적 수립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1947년 10월 이후 급변한 정치 상황과 남로당의 전술 변화는 그의 정치적 전망과 배치되었고, 이는 <첫전투>에서 유격전에 대한 회의적 전망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그는 당의 문학 노선에 따라 <첫전투>의 결론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첫전투>의 초간본은 남로당의 유격전술에...
[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수 있다. 그리고 이태준의 <첫전투>(1948.12)와 <고향길>(1950.7)은 후자에 속한다. 이 소설들은 1947년 말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이후 남로당의 변화된 전술인 ‘미 제국주의와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비합법 투쟁’과 연결되어 있다. 이태준은 중간파로서 남로당 노선에 동의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민민주주의 국가의 평화적 수립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1947년 10월 이후 급변한 정치 상황과 남로당의 전술 변화는 그의 정치적 전망과 배치되었고, 이는 <첫전투>에서 유격전에 대한 회의적 전망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그는 당의 문학 노선에 따라 <첫전투>의 결론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첫전투>의 초간본은 남로당의 유격전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