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청년문학』을 중심으로 -
이 글은 북한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발간되는 북한 문예지 『청년문학』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교육목표는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 테제에 따라 체제 유지 및 선전에 필요한 공산주의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이 바로 문학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학교교육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문학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교육매체 중 하나가 문학잡지이다. 북한의 잡지는 모두 당에서 출간되는데, 문학교육과 관련된 잡지로는 『조선문학』, 『아동문학』, 『청년문학』 등이 있다. 이 중 『청년문학』은 주 독자층을 14∼30세의 청년으로 한정하며 전문 작가만이 아니라...
[학술논문] 예술의 특수성과 당(黨)문학 원칙 1950년대 북한문학을 다시 읽다
...작품론이라는 미시적 접근법을 통해 기존 연구를 수정 보완한다. 구체적으로는 1955∼59년 북한 문학장의 역동적인 흐름을 ‘이념, 주체, 매체, 미학, 작품론’ 항목으로 재구조화하여 분석한다. 이들 분석항을 횡단하는 키워드는 ‘도식주의 비판’이다. 이 담론 덕에 작가동맹 조직과 『조선문학』이 대폭 개편되고 『청년문학』, 『문학신문』 등이 창간되었다. 특히 문학의 사회학적비속화를 비판하고 예술의 상대적 특수성을 옹호하는 분위기 덕에 전후(戰後) 복구 시기의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창작이 가능하였다. 가령 안막 「무지개」, 신동철 「전선시초 5편중-전사와 황소」, 전초민 「꽃씨」, 리순영 「서정시 3편 중-산딸기」 등 리얼리즘 서정시와전재경 「나비」, 신동철 「들」 등...
[학술논문] 1950~60년대 북한 문예미디어 지형과 사회주의 문화정치
...대표 문학지 『문화전선』(1946)-『조선문학』(1947)-『문학예술』-『조선문학』에 대한 20년 간의 전수 조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50, 1960년대 북한 문예 미디어의 전체 지형을 그려보았다. 특히 제2차 조선작가대회 전후(1955, 1956년)를 초점화하였다. 이 시기에 이전까지 『조선문학』, 『아동문학』밖에 없던 북한 문예장에 문학지 『청년문학』, 『문학신문』, 예술지 『미술』-『조선미술』, 『조선음악』, 『조선예술』, 『조선영화』 등이 창간되어 미디어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1950, 1960년대에 족출한 북한 문예지를 통해 지면이 확대되고 신인의 활동무대가 넓어졌으며 이론과 실제 비평 등 찬반토론이 활기를 띠는 등 리얼리즘 담론의 백가쟁명 양상을 보였다. 문예 미디어 지형을 조망한 결과 이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소설에 나타난 평양 공간 재현 양상 연구 - 사회주의 평등과 사적 욕망의 갈등 -
...논자는 김정은 시대에 발표된 평양 공간을 재현한 주목할 만한 소설 세 편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평양’의 공간적 상징화가 북한 민중의 내면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홍건의 「우리 집 노래」(<청년문학> 2018.4)는 평양 미래과학자거리의 초고층살림집에 거주하는 신혼 부부의 일상을 그렸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여교수는 내밀한 목소리를 통해 평양 시민의 공간 욕망과 사적 세계를 드러내고 있어 인상적이다. 김계숙은 「평양사람」(<청년문학> 2016.4)에서 젊은 세대의 감각적 언어로 ‘평양과 농촌’의 공간적 격차가 사회․문화적 불평등을 생산하고 있음을 그려냈다. 이 소설은 평양에서 태어나고 자란 소설 속 인물이 아버지의 선택으로 인해 농촌의...
[학술논문] 2000년대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양상과 특징 - 2000~김정일 사망 직전까지 작품을 중심으로
...과학환상문학의 양상과 특징을 살피는데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작품 수의 증가와 발표 매체의 확장 그리고 새로운 작가의 등장이다.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32편의 작품이 발표되었다. 이는 1990년대 발표된 작품보다 조금 부족한 숫자이며, 201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작품보다 많다. 발표 매체도 『아동문학』에 국한되지 않고 『천리마』, 『청년문학』, 『조선문학』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아동뿐만 아니라 청년과 일반인까지 독자층으로 확대한 결과이다. 둘째, 소재의 집중화 현상이다. 2000년 이후의 과학소설의 소재는 다양성과 함께 특정 유형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우주과학, 에너지와 자원, 인공지능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당시 북한이 가장 필요했던 에너지와 자원이었다. 반면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