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대학의 한국학과 설립 활성화방안
...비해 현재 국내에서 한국학과는 대학보다 대학원에 집중적으로 설치돼 있는 가운데, 국내 대학에서 한국학과 설치∙운영은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본 문제인식 하에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국내대학의 한국학과 설립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대학의 한국학과 설치 필수요인에서는 국내의 체류외국인 증가, 결혼이민자 증가, 외국인 유학생 증가, 외국국적동포 증가, 한류(韓流)의 세계진출 확산,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의 국내입국자 수 증가, 2018년 기준에서 국내 대학입학정원의 고교졸업자수 초과 확대 등이 규명되었다. 둘째, 국내대학의 한국학과 설치 활성화방안에서는 ‘한국학의 세계화’라는 브랜드 창출, 즉 해외의 한국학 진출로...
[학술논문] 중국동포정책의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
...한중관계의 발전, 그 중에서도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기여하였다. 남북한관계 및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서도 중국동포들은 큰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중국동포정책은 통일외교정책 및 통상정책과 반드시 연계되어야만 한다. 중국동포에 대한 동정이나 혐오의 차원을 벗어나서 그들이 지닌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고, 그에 맞게 중국동포정책을 재조정할 때다. 중국동포에 대한 재외동포법 시행령 상의 차별을 실질적으로제거함으로써 중국동포를 매개로 한 한중간의 통상(通商)과 인적⋅문화적교류의 수준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중국동포는 전체 체류외국인의 30%가 넘고 그 중에는 정주(定住)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많으므로이들에 대한 국민 인식을 개선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술논문] 혈구지도(絜矩之道)를 통한 다문화사회 소통⋅융합의 예(禮)실천방법 연구
2014년 12월 한국내 체류외국인은 179만7618명으로 총인구의 3.5%를 차지하였다. 이는 2003년 67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2.5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또 2015년 10월말 현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거주자 현황은 28400여명에 이르는 등, 다양한 외국인 증가추세의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더불어서 국내유입의 이주민들과 내국인들과의 문화, 교육, 경제 등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복합적인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핵심에는 기존의 전통적 사회구성원들과 이주민 구성원들과의 소통과 융합의 문제가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서 다문화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행동양식의 준거가 될 수 있는 예실천 방법에서 찾고자 한다. 이에...
[학술논문] 한국교회의 다문화 환경 변화에 따른 선교적 역할과 방향성 연구
한국에 개신교 정주선교사가 들어온 지 140년이 지난 지금, 한국 사회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세계화의 영향으로 다인종 다문화 국가로 변화하였고, 한국교회의 선교적 역할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체류 외국인의 수는 약 26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를 넘어섰으며,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난민, 외국 국적 동포, 북한이탈주민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해외 선교의 틀을 넘어, 국내 이주민 선교라는 새로운 사명과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성경적·신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와 환대의 본질을 조명하고, 한국의 다문화 환경 변화, 이주민 정책 및 법 제도의 발전 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한국교회의...
[학술논문] 국내 자생테러 생성요인 분석
...일부는 한국의 사회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경제적·사회적 박탈감을 경험하면서 우리국민을 상대로 테러를 자행하는 자생적 테러조직의 생성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자생한 테러리즘이 존재한다면 종교나 이념 등의 요인 보다 사회적 소외감 등 상대적 박탈감이 주요인이 될 수 있어 국내 자생 테러리즘 생성요인을 5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불법체류 외국인노동자 및 외국인 소외계층 그룹은 간헐성 테러리즘으로, 국내 이슬람 극단주의자 그룹은 민족주의 테러리즘으로, 다문화세대 중도입국자 그룹은 인간안보 관점에서, 유학생·난민 그룹은 국제이주이론 관점에서, 북한 테러조직은 이데올로기적 테러리즘으로 구분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테러위험인물에 대한 지속적인 동향관찰, 안면인식 CCTV 활용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