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동립 소설의 자유 담론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패가 극에 달하던 1950년대 후반, 『사상계』는 ‘국가로부터의 자유’와 국민의 ‘저항권’을 핵심으로 하는 ‘자유 담론’을 형성하였다. 본고는 당시 『사상계』의 매체 담론과 관련하여 볼 때, 1958년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사상계』의 신인작가들 가운데 국가 표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유에 대한 형상적 탐색을 보여 준 작가 김동립의 소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영웅」에 등장하는 ‘Z기’와 「두 암살자」의 ‘암살자’는 모두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전모를 파악할 수 없는 압도적이거나 음험한 존재로 ‘국가’를 표상한다. 이러한 국가 표상은 김동립 소설에서 추상적으로나마
[학술논문] 독일 헌법애국주의의 남북 통일 방안에 대한 시사점 - 한반도 가치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하며 -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통일의 가치적 한계 위에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단계별 통일방안 내용이 우리 헌법적 가치와 정합성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체화 되어야 할 것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통일방안이 갖고 있던 주권자 의사 확인 절차 및 보편적 관점의 부족 문제, 통일의 주체로서 ‘민족’ 개념의 추상성 문제를 보완한 「한반도가치공동체통일방안」을 통일방안의 새로운 담론으로 제안하였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 방안의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우리의 통일 방안은 미래세대로 하여금 남북관계, 북한인권, 통일 문제를 민족주의를 넘어 보편적 가치질서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이러한 관점에서 그동안 통일의 ‘주체’로...
[학위논문]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에 관한 연구 : 델파이(Delphi) 분석기법 적용
...구성적 의미라고 해석했다. 이에 따를 때, 헤겔은 『법철학』에서는 자신의 법 이론을 재구성했을 뿐만 아니라, 이 법이 인륜적 공동체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된 양상까지도 사변적으로 정초했다. ‘추상법’ 장에서 재구성된 헤겔의 법 이론은 추상적인 개별적 인격이 지니는 외적 자유로서의 소유권을 정초하는 사법(私法) 이론과, 이 권리의 추상성 자체에 내재하는 불법으로서의 범죄 개념과 그 지양의 필연성인 형벌 개념을 정초하는 형법(刑法)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헤겔은 개별적 주체들의 권리를 긍정적으로 인정할 뿐만 아니라, 추상법으로서의 사법은 인륜성 속에서만 온전히 실현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논자는 추상법으로서의 사법은 인륜성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륜성의...
[학위논문] 북한의 도시경관 조성과 경관통치 연구 : 평양시 주요 거리의 건설을 중심으로
...‘녹색건축’의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건축의 정책지향적 성격은 거리의 입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래과학자거리는 인근의 시설들(과학기술전당, 김책공업종합대학 등)과 클러스터를 형성할 잠재력도 존재한다.
김정일 시기와 김정은 시기 모두 모더니즘 건축의 산물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경관미학이 구현되었다. 따라서 모더니즘 건축의 특성(볼륨과 추상성 등)이 미학적 요소의 기본이 되었지만, 김정은 시기의 사례들은 각 거리가 갖는 미학적 특징이 비교적 다양하다. 서구 모더니즘 이후의 건축이 지역적 다양성을 띠듯이 미래과학자거리(과학기술 상징), 려명거리(첨단 녹색건축 상징)가 서로 다른 정체성을 보인다. 특히 최근 준공된 경루동과 송화거리, 화성지구의 사례들은 더욱 다양한 이미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김정은...
[학술논문] 북한 손해보상법과 북한 민법상 불법침해행위와의 관계
...‘손해보상법’ 적용을 위한 인과관계는 그러한 민사 불법침해행위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확정 및 청구 당사자 확정을 위한 절차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남한의 불법행위책임에 있어서 손해의 귀책 판단은 상당인과관계에 있는 원인행위 판단을 통해서 배상 여부를 판단하는 견해 또는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으로서의 인과관계와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하는 인과관계를 구별해야 한다는 견해 등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손해 개념에 관한 추상성 및 손해량 확정 또는 보상액 확정 방법들에 관한 명문의 법규정이 없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북한 ‘손해보상법’의 존재는 사회주의 법률들의 법적 성격상 이러한 추상성 배제와 민사책임 사항의 명문화를 통해서 각 법률의 기능을 보다 명료하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