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양육 어려움과 양육지원 요구
...이산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이 가장 큰 어려움이며 자녀의 돌봄 부재, 자녀의 성적, 부모의 불안 등이 차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자녀 연령, 자녀의 출생국, 자녀와의 이산 경험 여부,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양육 지원서비스 요구 인식은 학습지원 서비스, 자녀돌봄 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문항 대부분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넷째, 자녀양육 지원서비스 중 북한이탈부모의 자녀를 위한 학습지원 요구에 대한 인식은 자녀의 연령, 자녀동거여부, 자녀 출생국, 배우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교육서비스 인식은 자녀 동거여부에 따라, 자녀심리상담 서비스는 연령에 따라 배우자와 자녀와의 관계증진교육은 배우자유무에 따라 차이가...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부모의 우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우울과 사회적 관계의 이중매개효과와 개인적 특성요인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우울, 자녀의 우울, 사회적 관계, 학교적응으로 구성된 구조모형의 직접 경로는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탈북청소년 부모의 우울은 자녀의 우울, 사회적 관계, 학교적응에 이르는 모든 경로에서 직·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 구조 모형 경로는 개인적 특성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성별 구분에 따른 경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초등·중등의 학교급과 북한 출생·중국 출생의 출생국 구분에 따른 경로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탈북청소년 가정의 우울 관리 및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의 결정요인: 개인적 특성, 가족요인,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3세 이상 24세 이하의 탈북청소년 12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북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은 주변화(30.2%), 동화(26.4%), 분리(25.6%), 통합(17.8%)순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에는 출생국이 문화변용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출생 탈북청소년은 중국출생 탈북청소년과 비교해 다른 유형보다는 동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컸는데, 북한출생의 경우 동화, 주변화, 통합, 분리유형 순으로, 중국출생의 경우 분리, 주변화, 통합, 동화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으로는 가족유형과 가족응집성이 문화변용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학술논문] 북한배경 초등학생의 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배경 초등학생들은 학습 및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처음 경험하는 한국 학교제도와의 간극을 일반화된 문화로서의 사교육;학교적응을 좌우하는 교사와의 관계 형성;단계별 한국어 및 학습 격차를 통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의 탈북경험과 결합된 형태로서 학생들은 언어발달;기존의 탈북학생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 하위집단인 국내 출생 및 다문화 배경 탈북학생의 증가;사회적자본의 한계로 인한 학습 및 진로탐색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출생국을 막론하고 학교교육 과정을 통해 ‘탈북’이라는 상처를 재경험하며 다중적 정체성을 형성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탈북학생 및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