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통일의식조사는 전국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계층화된 다단계 추출법을 사용해 대표성을 확보했으며,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균형 잡힌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변인의 상호작용과 주요 경향을 파악했다. 포퓰리즘 성향, 도덕기반, 통일 및 북한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사전 검토한 후, 조사 데이터를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2장에서 8장까지 주요 연구 주제들이 다뤄지며, 마지막 9장에서 종합적인 결론과 정책 제언이 제시된다.
2장 “통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는 2020년 이후 통일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최저치를...
[경제/과학]
.../>
이 책은 김일성부터 김정은 시대까지 이르러 북한의 경제발전전략을 본격 탐구한다. 북한문제 전문기자 경력의 저자가 파헤치는 북한 경제발전전략은 향후 통일을 앞 둔 하나 된 한국에 있어 큰 과제 중 하나인 경제문제를 보다 전문적인 시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며 북한경제의 실체에 다가감으로 일반적으로 북한경제에 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을 타당성 있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1, 2로 나누어져있으며 1에서는 북한의 경제발전전략의 정신적, 정치적, 경제적 기초를 다루며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전략적 노선의 흐름을 살펴보고 2에서는 김정은 시대의 경제발전전략의 방향과 과제를 상세히 다룬다. 통일이 될 경우 발생할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는 많지만...
[경제/과학]
.../>
이 책은 김일성부터 김정은 시대까지 이르러 북한의 경제발전전략을 본격 탐구한다. 북한문제 전문기자 경력의 저자가 파헤치는 북한 경제발전전략은 향후 통일을 앞 둔 하나 된 한국에 있어 큰 과제 중 하나인 경제문제를 보다 전문적인 시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며 북한경제의 실체에 다가감으로 일반적으로 북한경제에 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을 타당성 있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1, 2로 나누어져있으며 1에서는 북한의 경제발전전략의 정신적, 정치적, 경제적 기초를 다루며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전략적 노선의 흐름을 살펴보고 2에서는 김정은 시대의 경제발전전략의 방향과 과제를 상세히 다룬다. 통일이 될 경우 발생할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는 많지만...
[사회/문화]
...자원을 두루 결집할 방안을 제시하지도 못하고 있다. 이 책은 묵직하지만 시대착오적인 두 시각을 극복하고 민족과 세계, 통일과 평화를 호환시켜 기성 시각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대안적 시각을 ‘평화주의(pacifism)’로 제시하며 이를 위한 한국 평화학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반도 문제를 그 명분, 이론, 정책 등 다차원에서 타당성과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하며 그 대안을 평화주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냉전 이후 중동지역과 함께 평화가 가장 절실한 한반도에 평화주의 시각, 평화학이 왜 지금까지 학계에서 일어나지 못했는가, 격세지감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책은 분단정전체제의 장기화로 요약되는 한반도 문제의 현실과 미래를 평화주의 시각에서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정치/군사]
...데서만 찾을 수 있는가? 세계시민주의와 같은 담론은 통일과 소통하지 못하는가? 다시 말해 평화학의 시각에서 한반도 통일문제를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도 주요 연구목적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은 최종적으로 한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은 무엇인가로 모아져야 할 것이다. 평화주의 시각에서 폭력의 대명사인 국가에게 지속가능한 평화, 혹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를 추구하는 것이 타당한가? 그렇다면 평화주의 시각에서 한국의 통일·외교·안보정책 대안은 있는가, 아니 그 이전에 그것이 가능한가? 이상과 같은 질문은 이 책의 문제의식인 한반도 문제에 관한 기존의 강력한 두 시각에 대한 도전임은 물론, 이 책의 목적인 한국 평화학의 정립 가능성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채찍이기도 하다.
[학술논문] 북한의 해양관광자원 현황과 평가: 주요 대상지의 개발 우선순위 도출을 중심으로
...평가한 결과, 고성(금 강산), 남포, 원산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나선, 명천(칠보산), 통천(원산-고성 사이), 경성(북한 최대 온천지대) 등이 뒤를 이었다. 평가결과를 통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해양관광자원 개발 1순위인 고성, 남포, 원산은 북한이 추진하는 경제특구에 모두 포함되어 있어 정책의 전반적 방향성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관광 잠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목받고 있지 않는 경성, 마전 등은 입지여건과 자원여건이 양호한 편이기 때문에 향후 북한 관광 특구 후보 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양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지만 입지·자원 여건과 추진여건에 차이가 나는 경성, 마전, 강령 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역 전반의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학술논문] 한일터널의 검토 과제와 기대효과에 대한 고찰
...고속철도망이 확충되고 있으며, UN의 아시아ㆍ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ESCAP) 등의 장(場)에서 아시아하이웨이 건설이 그 어느 때보다도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 민간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던 한일터널 건설과제가 실현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의 보다 적극적인 대응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관련 기술의 축적과 함께, 건설의 타당성과 안전성 확보, 나아가서는 정치ㆍ외교ㆍ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문제점, 그리고 그 해결을 위한 과제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한일터널 건설적 논의는 향후의 아시아하이웨이와 TKR의 부설, 한국ㆍ중국ㆍ일본과의 FTA 체결과 동북아공동체 논의 등 국제정세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한일터널 건설은 주변국의 정치ㆍ경제적 이해관계와...
[학술논문] 남북한 통일 이후의 과거청산
...현재 북한 형법도 공소시효에 관한 규정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조항에 따라 통일시점에 이미 공소시효가 완성된 사건에 대해서는 더 이상 형사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문제가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통일시점까지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는 일거에 한국 형사소송법상의 공소시효 규정을 적용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피고인의 입장에서 갑자기 유리해 질 수도 있고 불리해 질 수도 있다. 불리해지는 경우 소급처벌 문제가 생기는데 절차법 관련사항이므로 죄형법정주의 위반으로 보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실제로 문제가 될 사항은 통일 전에 북한에서 있었던 범죄행위에 대한 통일 이후의 형사법적 처리가 제 때 이루어지지 못해서 공소시효가 추가로 완성되는 일이다...
[학술논문] 통일에 관한 재정법적 검토
...남한의 주거혼잡과 범죄의 문제이외에 북한의 공동화로 인한 개발의 공전 등으로 인한 통일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실적으로 한시적으로 북한주민의 남한이주를 금지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이에 대한 보상책으로 북한주민들에게 북한토지를 분배하고 해외자본 및 남한의 민간자본을 신속히 국유화된 토지를 무상분배 내지 장기간 무상대여하면서 북한개발을 촉진시키는 방안을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통일비용에 관한 기존 논의와 연구들이 오히려 우리의 통일 노력 혹은 통일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우선 이론적으로는 통일의 순비용(net cost)로 정의되어야 할 통일비용이 총비용(total cost)로 정의됨으로써 실제 비용을 크게 부풀리는 결과를 낳았다는 점 등이 문제이기에 통일투자라는 개념으로 정립되는 것이 필요하다. 통일투자...
[학술논문] 북한어 정신건강 평가도구 개발 및 그 신뢰도
Objectives ZZ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North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NK-CIDI)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K-CIDI. MethodsZZSubjects were 100 North Korean defectors, aged 18 to 65, who were recruited in a center for defectors i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or who were on an education curriculum in the defector settlement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