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연결구성 ― 헤드라인에 나타난 ‘주체’와 ‘사건’에 대하여 ―
...불완전한 술부를 활용하여 헤드라인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한국어 헤드라인의 연결구성이 조사 사용을 배제하고 키워드를 나열하여 형태적으로 합성어에 가까운 구성을 선호하는데 비해, 일본어의 경우는 어와 구의 중간적인 성격을 보이는 구성, 즉 통사적 요소가 포함된 탈경계적 형식이 빈번히 관찰된다. 일본어의 경우 통사적인 요소를 합성어 구성에 포함시키는 예가 한국어에 비해 용인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차이는 탈경계적 언어 현상의 가속화라는 경향이 두 언어 간에 다른 방식으로 진전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대 사회의 정보량 폭증이라는 공통된 상황 하에서 독자의 시선을 끌고자 하는 의도 등 언어 외적 요인으로 촉발되는 현상이 일한 두 언어에서 서로 다른 방식과 속도로 나타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