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북한’으로 종결되는 ‘탈북미녀’의 증언이나 기억은 ‘탈북자’ 범주 안에서 개별적 의미들을 갖지 못함으로써 ‘탈북자’ 이미지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지 않았다. 한편 탈북청년들에게 ‘탈북미녀’의 등장은 출연자의 사적 이익을 위해서 ‘탈북자’의 부정적 의미를 강화시키는 계기로 인식됐다. 그래서 ‘탈북자’ 범주 바깥으로 ‘탈북미녀’를 밀어냄으로써 탈북자 내부의 차이를 인정하기보다는 ‘탈북미녀’를 타자화하면서 방송과 자본의 범주로 위치시키려고 했다. ‘탈북미녀’의 등장은 탈북청년에게는 탈북남성과 탈북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