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학생 대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
...대비 국어교육을 준비하는 일환으로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작업을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분단 70년간 서로 달라진 남한과 북한의 언어 이질화 양상 및 학습자 대상인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달라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의 차이와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목표와 내용, 방법 면에서 검토하였다. 아울러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과 탈북학생 및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앞선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고에서는 통일 대비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는...
[학술논문] 남북한의 한글 자모 교육 비교 연구 - 초등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글 자모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글 자모 교육은 공교육의 마땅한 책무라는 점에서 탈분단 시대 이후에도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 자모 교육 양상을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남한 학습자와 북한 학습자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출생지, 국어의 지위, 교육 담당 기관 등을 고려하여 남북한 학습자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이에 따라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위의 남북한 학습자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와 탈북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등으로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