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 이행기 동유럽의 안보 및 동맹전략의 변환과정과 경로에 관한 연구: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사례 비교
...가입국들에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코와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들은 EU와 NATO를 자국의 안보전략에서 통합적인 체계로 사고하였으며 체제이행기에 외교안보 및 군사전략의 변환과정에서 두 기구에의 가입을 동시병행 추진하였다. 연구 시기는 소비에트 체제 말기이자 동유럽 체제이행이 시작된 1989년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의 NATO가입이 최종적으로 좌절된 2008년까지로 한정하였다.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동맹체제 전환전략(NATO와 EU가입문제)에는 지정학적 요인과 더불어 ‘지문화적 정체성(geocultural identity)’이라는 인문학적 요인, 그리고 강대국 지배라는 역사적 경험이 작용하였다. 동유럽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대서양동맹체제로의 편입,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유럽과의 통합이라는...
[학술논문] 소연방 해체기 중앙아시아국가들의 탈소비에트화 및 중앙아시아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지역은 소련시절 서방세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대표적인 이슬람국가들이다. 이들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국가들이지만, 소련인민들에게 중앙아시아는 신비주의의 상징 그 자체였다. 이러한 미지의 대상을 연구할 때 1차 자료를 배제한 기존 선행 연구방식, 즉 체제전환기 이론 등을 적용한다는 것은 논문의 양적 기대는 되지만, 질적 기대는 어렵다. 중앙아시아의 문제는 중앙아시아의 관점에서 바라봐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기에 이들 세 개 국가들이 어떻게 체제변혁기를 맞이했으며, 탈소비에트화, 탈러시아화를 어떻게 이루었으며, 중앙아시아화 건설을 어떻게 만들어 나아갔는지를 다루게 된다. 제I장에서는 중앙아시아를 대표하는 3국가의 지정학적 개요, 탈소비에트화, 탈러시아화 및 중앙아시아화 움직임에 대한 과정들을 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