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國歷史民俗學의 모색과 궤적
...민속학(folklore)과 많이 다르다. 역사와 민속의 단순 결합이 아닌,‘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이란 입장을 분명히 하기 때문이다. 역사학계의 선학인 손진태는 역사학과 민속학을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손진태 이후에 역사학과 민속학은 그 관계가 단절되었으며,민속학은 대개 국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되었다. 역사민속학은 일반민속학의 몰시대성․탈시대성에 관한 일정한 비판을 전제로 하며 민속의 낙후된 부분만을 민중생활의 전모인 양 파악하는 잔존문화론을 비판한다. 역사민속학에서는 민속사를 주목하며, 민속사는 장기지속의 역사,단기지속의 역사를 모두 포함한다.모든 시기에 해당되는 통시대적인 민속도 있지만, 일정한 시기에 발현된 단기적인 민속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역사민속학의 발전과정에서 북한의 역사민속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