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서로 체면 고려않고 선 넘어 한-중 관계 악화” VS “심각한 북핵위협, 중국이 역할 못하는 것 우려”
중국은 현재의 남-북 관계와 북-중 관계, 그리고 북한 핵문제를 어떻게 보고 있고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재단법인 통일과나눔과 연세대 중국 연구원이 지난 달 29일 공동개최한 ‘제3회 한중 전략 컨퍼런스 – 중국이 본 한반도와 한-중관계’ 두 번째 세션 ‘남북관계, 북중관계와 북핵문제’ 토론에서는 이에 대한 양국 전문가들의 분석과 입장 전망이 쏟아졌다. 컨퍼런스 두 번째 세션은 한석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이 좌장으로, 정지용 중국 복단대학교 한국연구센터 소장,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원장, 왕쥔셩 중국사회과학원 아태 및 글로벌전략연구원 연구원, 이성원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센터장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벌였다.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5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 국제통일컨퍼런스 <분단 80년과 신냉전 시대의 한반도 통일전략> 기획패널 발표(2)
"한반도는 일본 안보구상의 중심
일본, 한미일 삼자협력 재개•확대를 최우선과제 삼아야"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 제3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초당적 통일정책의 필요성과 현실: 독일 사례가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 김갑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민성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김형석 대진대학교 객원교수, 민태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박명규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박주화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양창석 선양하나 이사장,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이봉기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이영선 통일과나눔재단 이사장, 이제훈 한겨레 선임기자, 이하원 조선일보 외교안보 에디터, 이혜정 중앙대학교 교수, 전우택 연세대학교 교수, 정용수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장, 조동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최아진 연세대학교 교수, 최형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 현인애 한반도미래여성연구소 소장, 황태희 연세대학교 교수 등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청년통일축제UniKoreaFestival] 통일과나눔 10주년 기념, AI로 구현한 통일 기차여행 영상 제작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사장 이영선)은 설립 10주년을 맞아 AI로 구현한 '한반도–유라시아 횡단열차' 영상을 제작해 11월 1~2일 서울 반포한강공원 달빛광장에서 열린 국민통일축제 UniKorea Festival 2025 ‘통일열기’ 에서 공개했다.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5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 국제통일컨퍼런스 <분단 80년과 신냉전 시대의 한반도 통일전략> 플래너리 패널 발표(3)
"한미 전략적 대화 가속화하고
중국에 대한 입장 분명히 해야
남북 채널 재건해야 심각한 갈등 막아"
[뉴스] "트럼프, 제국주의로 기울자… 中은 동아시아, 러는 동유럽 지배력 확대"
제라르 롤랑 UC버클리 교수는 19일 본지 인터뷰와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공동 주최 포럼에서 ‘먼로주의’를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 등장 이후 세계가 미국, 중국, 러시아 3국의 영향권으로 재편되고 있어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뉴스] https://www.chosun.com/politics/north_korea/2024/09/30/4WK5F4RGQBFXXJPVAYLA7U7UM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이념과 정파를 넘어 새로운 통일담론을 만들기 위한 전문가 포럼이 출범했다.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사장 이영선)은 지난 26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보수·중도 성향 전문가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당적 통일 정책-전문가 포럼’ 발족식을 갖고 첫 토론회를 개최했다.
[뉴스] 통일과나눔재단 "두 국가 선언한 北, 체제 권위 높이기 위해 공포정치중"
[앵커]
통일 대신 '두 국가 체제'를 선언한 북한과 한국의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 석학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심각한 경제난으로 정권 붕괴 위기를 겪는 북한이 공포 정치로 정권 유지를 이어가고 있다는데는 인식을 같이했지만, 러시아와의 군사협력과 미국과의 핵 협상 전망에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