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의 외교전략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커지는 상황이다. 글로벌 차원에서도 초국가적 문제와 비전통적 안보위협의 증대는 지구촌 모든 국가들이 당면한 위협이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해 박근혜 정부는 외교안보에 있어서 ‘행복한 통일시대의 기반구축’이라는 과제를 설정했다. 한반도 평화 확보를 위해 당면한 과제로는 첫째, 미국과의 전략동맹 관계를 통한 협력으로서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 조율, 그리고 전작권 전환 이후 새로운 협력관계를 구상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강력한 대북 억지력을 유지하는 한편 국제사회의 공조를 이끌어내야 한다. 셋째, 중국의 역할 증대를 모색해야 한다. 넷째, 미래지향적 외교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복합외교와 통합외교를 비전으로 채택하고 중견국 외교를 적극 펼쳐야 한다.
[학위논문] 남북 군사통합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성행하였다. 물적요소는 반란의 소지가 될 수 있는 일체의 무기를 압수 또는 폐기하였다. 베트남 군사통합의 과정은 승전국이 패전국에 대한 입장에서 진행되었다. 그 과정과 방식에 있어서 참고가 될 사항은 얼마 없지만, 기준없는 청산은 오랜기간 사회통합의 후유증으로 남는다는 교훈을 주었다.
제4장 제3절에서는 예멘사례를 살펴보았다. 예멘의 군사통합은 외교적인 측면에서 오랜기간 대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하지만, 남북예멘이 받아들였고, 헌법에도 명시된 이슬람 국가의 법원 중 하나인 샤리아(Sharia)를 통한 통합은 실질적인 법치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실제도 통일헌법이 제정되었고 효력이 발해졌음에도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규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군사통합은 결국 통일 후에 이루어지겠으나, 통일이전부터...
[학술논문] 부상한 러북 신동맹: 지정학적 융합과 변화되는 게임진단
...해결책으로 러북은 신동맹 형성 이라는 셈법을 가동시키게 된 것이다. 이러한 셈법이 빨리 작동된 이유는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된 국가가 과도기 국제질서 속에서 높아진 공통분모라는 환경 속에서 협상의 절충점 모색이 용이하여 대내·외 청중 비용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의 양면게임 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권위주의 양면게임 모델’로 개념화할 수 있다. 러북 신동맹이 구 조적 변수에 기인한다는 것은 이를 상쇄하기 위해 단기적 처방이 아닌 중·장기적 새판짜 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지시킨다. 따라서 본 논고는 거시적 대응책으로서 전략적 3축 구 상과 억제-외교 고강도 융합전략을 제시한다. 이 전략의 포괄적 접근법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으로 통합억제와 통합외교에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