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징사 설정에 대한 논의
...주로 용언을 수식한다는 것이지만 상징어는 용언 수식 기능 이외에도 관형사처럼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특성은 서술어의 기능을 할 때도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문장 내에서 독립어의 기능도 수행한다. 조어적 차원에서 상징어가 일반 부사와 다른 점은 ‘-거리다, -대다, -하다, -이다’와 결합하여 파생어를 형성하는 데 매우 생산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징어는 파생법 과 합성법에 의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하지만 자·모음 교체법과 중첩에 의해서 도 수많은 단어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특성은 다른 품사 류에서는 볼 수 없는 상징어만의 특성이다. 이러한 상징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상징어를 부사가 아닌 독립된 품사인 상징사로 설정하는 문제는 이제 우리...
[학술논문] 북한 문법 ‘상토’의 문법 범주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orphemes '-i-, -hi-, -li-, -gi-' in North Korean grammar and then we deter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voice category of adjective with verb. In North Korean grammar, '-i-, -hi-, -li- , -gi-' are grouped together with particles(조사) and endings(어미) and set as To(토) categories. It seems to be due to
[학술논문]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본 논문은 북한어 고유어 색채 파생어의 파생 양상과 의미 분석을 통해 한국어 색채어의 인식과 표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윤(2022)의 후속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말대사전’에 등재된 색채어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어 색채어의 파생 양상과 접사의 의미 자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색채어류별로 결합하는 접사의 수와 결합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며 각 색체어별로 파생어 상이한 파생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생 접사별 색채어류에 따른 파생어 수를 확인하여 접사별 파생력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선말 대사전’의 사전 뜻풀이를 바탕으로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 자질을 ‘평가...
[학술논문] 남북한 ‘-적(的)’ 파생어에 대한 고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derivatives“-jeok”from morphological and semantic aspects, using the entries from the South Korean “Standard National Language Dictionary” and the North Korean “Korean Dictionary”as the subjects of research, to uncover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hapter 2 examines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