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 승역의 제도적 운용은 전란 후 양인 노동력의 부족을 메꾸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서 국가의 부역 및 조세 정책과 연동되어 전개된 것이다. 조선후기 승군 제도의 운영과 승역의 확대는 인조대에 남한산성의 조영과 방비에 승군이 활용되고 벽암각성碧巖覺性이 팔도도총섭으로 임명되면서 제도화되었다. 남한산성은 임진왜란 때부터 서울의 보장처로서 주목되었고 후금後金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1624년부터 1626년까지 축성이 이루어졌다. 이때 다수의 승군이 동원되었고 팔도도총섭의 주관 하에 성내 사찰에 승군이 상주하면서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후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승군 운용이 남한산성을 모델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남한산성의 승군제는 승군 활용과 승려 자격의 용인이라고 하는 조선후기 불교정책이 제도화된 기점이었고 상징이었다...
[학술논문]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내력과 양식적 특징
...있는 발원문이 발견되어 18세기 전반 불사와 관련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 불상은 靑虛休靜(1520~1604)의 법맥을 계승한 喚醒志安(1664~1729)의 문도들이 중심이 되어;평강 보월사를 중창하면서 조성한 불상으로;18세기 문중 의식이 고조되는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불상을 조성한 수조각승은 팔도도총섭 예하의 북한 산성 소속의 승장으로 파악되고 있어 당시 불사가 팔도도총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이러한 불사의 운용은 임진왜란을 겪는 과정에서 재편된 佛敎 僧政體制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백담사 불상은 전란 이후 변화된 승정체제의 불사운용 시스템의 지속화 과정을 보여준다. 백담사 불상을 비롯하여 평강 보월사 대법당에 봉안된 삼존상이 최근 모두 확인되었다.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