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북한 경희극 분석
2011년 12월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하자 후계자로 공인되었던 김정은이 곧이어 최고사령관에 취임한다. 그리고 이듬해인 2012년 공화국 원수의 지위에 올랐다. 김정일이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후 오랫동안 후계자 수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약 3년이라는 유훈통치의 기간을 거치고 난 후 국방위원장이 된 것과는 다르게 김정은의 권력승계 행보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북한에서의 2012년은 ‘강성대국건설의 원년’으로 선포될 주체101년이었다. 하지만 이것을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시간에 김정일은 사망하게 되었고, 이십대 후반의 젊은 후계자가 새로운 지도자로서 그 위치에 섰으며 이른바 김정은 시대가 출범하게 된다. 김정일의 사망과 김정은 시대의 정권 이양기는 4개월 남짓한 시간이다
[학술논문] 평양민속공원의 건립과 해체 : 김정은시대 민족유산보호정책의 변화
평양민속공원의 건립과 해체는 김정일과 김정은 시기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 변화의 중요한 사례이다. 관광을 활성화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계획된 이 공원은 김정은 시대에 애국주의 교육의 상징으로 자리 잡아 정권 안정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2016년 그 해체는 단순한 정치적 이유뿐만 아니라, 북한의 문화 정책 변화와 이 공원이 지니고 있던 상징성과도 연관되어 있었다. 2019년 헌법 개정에서 "복고주의적 경향"을 반대하는 문구가 삭제되었지만, 평양민속공원에서는 이미 봉건 지배계급의 문화유산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이 공원은 남북한의 역사적·문화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김일성민족”이라는 서사 아래 한반도 전체의 역사를 통합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