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MZ 세계평화공원 내 UN 제5사무국 유치에 대한 고찰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 간의 긴장완화를 위해 지금부터 실현가능한 방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DMZ 세계평화공원 내 UN 제5사무국의 유치를 위한 가능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DMZ는 6·25전쟁 말에 UN군과 북한에 의해 설정됐다. 평화공원은 접경보호지역에서 평화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평화조성의 중요한 수단이다. 박대통령은 취임 초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2013.5.8)과 독일에서의 핵안보정상회담과 드레스덴 선언(2014.3.28)에서도 남북한과 UN이 함께 DMZ 세계평화공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DMZ 세계평화공원이 설립된다면 남북한 문제의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으로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MZ 세계평화공원과 병행하여 ‘UN 제5사무국’이 설립되기...
[학술논문] 통일코리아의 미래기획: 비전, 현실, 대안
...과정이다. 통일코리아는 세계 5대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비전이자 꿈이며 이는 경제적 이익 못지않은 분단의 비가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한반도 미래전략이다. 그러나 교류의 진전이나 통일의 객관적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과 조선을 넘어서는 새로운 통일코리아를 만드는 데는 정체성 혼란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새로운 ‘한류’인 피스꼬레아를 만들어 내기 위해 한국과 조선(북한)의 역사와 민족, 정체성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창의력과 상상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평화유지(peace-keeping)로서의 통일, 평화조성(peace- making)로서의 통일, 평화구축(peace-building)으로서의 통일을 적극적으로 준비해 나가야 함을 강조한다.
[학술논문] 한반도에서의 EU의 규범적 권력에 근거한 역할 조사 –북한관련 EU의 핵무기 확산방지 정책을 중심으로 -
북한의 핵무기 문제는 한반도의 가장 주요하고 복잡한 안보사안 중 하나 이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 기여하기 위해 현존하는 평화조성의 구도를 재고해야 하고, 다른 강대국들과 힘을 모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력자들 가운데, 오랜 시간 가까운 외교관계를 유지해왔던 EU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과 EU는 무역관계를 형성하는데 치중한 나머지 이들의 정치적인 관계와 협력가능성이 다소 가려져 있다. 현재, 한국은 유럽연합의 규범적 권력을 바탕으로 고유한 역할을 한반도 평화건설 과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관한 재 고찰이 필요하다. 이 사안을 좀 더 들여다보기 위하여,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EU의 북한의 핵무기 확산을 방지하는 정책을 바탕으로 EU의 규범적 권력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위논문] 캐시미르 紛爭과 韓半島에서의 UN PKO 役割에 관한 硏究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실질적 경험축적 이라는 점에서도 한국의 PKO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한반도 문제와 같이 잠재된 갈등양상을 보이는 지역에서의 분쟁의 사후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UN PKO 활동은 지역 내 평화정착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지만, 이에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UN PKO 활동 중 평화조성이나 평화재건과 같은 갈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한반도 현실에 맞게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With a great focus on the peace keeping activity -one of ways to tackle nation to nation conflicts- of the United Nations,...
[학위논문] 한반도 통일에 있어 국제법상 UN의 역할
...부여한 통일의 국가적 과제를 국제법보다 앞서 검토한 후 국제법질서에서 UN의 역할을 개관하고 한국문제에서의 UN결의를 포함한 UN의 권능, 민족자결권, 남2024;북한 특수관계론을 제시하였다 D;
‘제3장 한반도 평화통일과정에서 UN의 역할’에서는 남2024;북한이 합의가 가능하여 전쟁을 명확히 종결하고 통일로 가는 평화를 조성하기 위해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한반도 분단 및 안보상황을 규율하는 국제법인 휴전협정에 관한 諸문제, 즉 한국전쟁 및 휴전협정의 평가, UN 군사행동의 근거와 성격, 당사자문제, 협정의 효력이 문제되는 경우 등을 자세히 논의하였다 다음 북한의 평화협정 제의에 따른 UN군의 해체와 주한미군의 철수 문제, 평화협정의 필요성 및 휴전협정의 당사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