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털뉴스에서 많이 읽힌 정치뉴스의 의제와 정파성: 온라인 신문에서 많이 읽힌 정치뉴스와 비교 연구
이 연구에서는 포털 뉴스인 <네이버 뉴스>와 <다음 뉴스>의 이용자들이 많이읽은 정치 뉴스들의 의제 다양성과 정파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들뉴스들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그것을 위해 온라인 신문인 <디지틀 조선>과 <인터넷 한겨레>에서 이용자들이 많이 읽은 정치뉴스들과 뉴스 속성을 함께 비교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포털 뉴스의 이용자들이 많이 읽은 정치 뉴스들은 온라인 신문 이용자들이 주목한 기사들과 비교했을 때 한편으로는 “주 내용”이나 “속성 의제”나 “이슈 중복 비율”을 보면 매체 간 차이가 나타나며 다양하다고 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특정 항목들의 빈도 순위나 비중이 온라인신문 이용자들이...
[학술논문]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 :주요 포탈에서의 핵심어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갈등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에서도 텍스톰(textoM)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 2년 동안이었으며, 데이터 수집은 (1) Naver의 웹문서,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IN, (2) Daum의 웹문서, 블로그, 뉴스, 카페, (3) Google의 웹문서, 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수집을 위한 키워드는 사회갈등, 사회, 갈등, 영호남, 남북한, 정신, 문화, 세대, 지역, 부부, 남녀, 계층, 이념, 정당, 사상, 계급 등 16개로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갈등 관련 전체 네트워크는 세 가지 차원의 연결밀도 고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연결밀도가 가장 높은 중심 부분에는 ‘사회’...
[학술논문]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탈북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사회적 감정 분석: 포탈 ‘네이버’의 북한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이 글에서는 ‘분단적대성 지표’ (Inter-Korean Antagonism Index, IKAI)를 사용하여 탈북민에 대해 한국사회가 가지는 사회적 감정을 확인하였다. 탈북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감정은 기본적으로 ‘혐오’가 큰 비율을 차지한다. 그러나 북한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따라 혐오 감정의 구성 비율이 변화하며 ‘불안’이나 ‘공포’의 감정 등 다른 부정 감정유형의 감정들의 구성비율이 높아지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는 기본적으로 탈북민을사회적 영역에서 어떠한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존재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북한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적대적인 사회적 감정이 표출된다. 이는 한국사회가
[학술논문] 한국 언론의 외신 인용 보도의 특징과 관행
...관련 사안을 보도할 때 기존에 생산된 뉴스의 논조와 일관성을 보이는 외신 보도에만 선택적으로 주목한다. 인터뷰에 참가한 전문가들의 의견들은 내용분석 연구결과를 재차 확인시켜준다. 전문가들은 비서방국 사안에도 주목하고 그들의 매체를 인용하는 비중을 늘리는 등 서구 선진국 언론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언론이 서구 강대국 몇몇 언론이 만들어낸 기존의 이미지를 끊임없이 재생산함으로써 수용자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더욱 강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외신 인용 저널리즘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려면 언론사(충분한 인적·물적 자원 투자), 언론인(전문성 구비), 뉴스 유통 업체(포털의 국제뉴스 배열), 시민(국제뉴스 리터러시 역량)의 공동 협조 및 참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