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1950-1953) 미술교육 고찰
...한국미술교육의 연구에 기초를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혹한 전쟁의 상황 속에서 우리민족이 가지고 있던 남다른 교육열은 피난학교와 노천수업으로 이어졌으며, 물자의 부족과 곤궁한 삶이 교육을포기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 연구는 전시기간동안 우리민족이 생존해야 하는 절대절명(絶對絶命)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미술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남북한 분단 정권의 수립이후 발발한 한국전쟁 기간동안 남북한이 서로 체제우위와 도덕적 정당성을 선전하고 적군의 부도덕성과 침략성을 폭로하기 위해 사용한 시각이미지들에 재현된 이데올로기 전쟁으로서 성격을 밝힌다. 둘째, 피난학교의 운영과 교육시설을 통해서 한국전쟁기 교육의 참혹한 양상들을조명한다. 셋째, 아카이브에서 발굴한 1차적 자료를 토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