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시장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대항문화인가, 하위문화인가
...유인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문화론적 측면에서 북한 시장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북한 시장은 체제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대항문화로 작용하기에 분명한 한계가 있다. 북한의 시장은 주민들의 마음과 정서를 통제하는 북한의 지배문화 내에서 작동하는 하위문화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 시장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은 북한 시장화에 대한 학계와 정부의 정책 대응을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는 북한 근대화를 통한 중산층 육성방안에 대해 학문적, 정책적인 후속 연구를 요구한다. 주민들의 마음과 정서를 통제하고 있는 지배문화를 약화시킬 수 있는 문화적 방법을 강구함으로써 북한의 시장이 하위문화에 그치지 않고 북한체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대항문화로 기능하도록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1950년대 전후 레짐(postwar regime)과 잡지 ‘희망’의 위상
...<희망>은 한편으로 영화 코너들을 활용한 독자대중의 아메리카니즘에 대한 선망과 욕구를 자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전시 수행을 위해 증대된 미군과 미군 기지의 현존이 야기한 전후의 문제들을 여성 섹슈얼리티로 매개하고 전시하게 된다. 잡지 ‘희망’은 1950년대 대중지의 매체 지형을 공유하면서, 전후 한국사회의 급격한 아메리카니즘을 이른바 지식인과 파워엘리트들의 견문과 시찰 등의 고급문화와 여성 섹슈얼리티의 과잉과 연루된 질 낮은 아메리카니즘의 하위문화로 분절하는 매체 지향과 전략을 선보였다. 월간 <희망>을 필두로 한 잡지 ‘희망’의 이러한 변모상이야말로 전후 레짐과 연동된 1950년대 대중지의 존재방식이기도 했다는 점을 이 글은 4장에서 결론 삼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통일과 삶의 관계 그리고 통일-하위문화
...변형되고 증식하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통일-하위문화 개념을 제안하였다. 하위문화란 한 사회에서 권위적·정통적·전통적인 위상을 지닌 문화에 대해, 그 사회의 일부 집단에 한정된 위상과 의미를 지니는 부분-문화이다. 통일-하위문화는 통일(담론)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주류 문화와의 관계에서 하위(sub)에 놓여 있기에 일반적인 통일(담론)과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 글에서 검토할 통일-하위문화영역의 예는 북한이탈 주민, 남북한 접촉지대, 이북5도청이다. 각각의 예에서 공식적인 통일 담론과 정책에 큰 영향을 받지만 그것을 전용하여 또 다른 의미가 생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고 작동 중인 통일-하위문화는 정치체제 중심에 놓는 통일담론과 삶 중심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