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해 NLL 수호를 위한 군사적 대응방향
서해 NLL과 NLL 인근해역은 우리나라의 사활적인 국가이익의 중심에 있으며, 군사적 힘의 논리가 크게 작용하는 곳이다. 군사적으로 서해 NLL을 확고히 수호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한 억제전략을 우선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이 군사도발을 감행할 경우에는 단호히 군사적으로 대응하여 도발원점과 지원세력 및 지휘부를 타격하여 현장에서 완전한 승리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해 NLL 인근 전력을 보강하고 지·해·공 합동작전 능력을 강화하며 한미 국지도발 공동계획을 연습하여 상황발생시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서해 NLL 인근에서 무력충돌이 발생 시에서 결정적이며 완전한 승리를 거두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고 군대의 존재이유이다. 이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학술논문] 최근 주변국 해군력 증강과 한국의 대응방향 - 해군력의 증강방향과 함정과학기술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
최근 아·태지역의 군사력 증강 중에서 특히 해군력 증강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인 해군 위협뿐만 아니라, 해양자원, 영토분쟁, 해양에서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일본, 러시아와 북한 해군은 신형의 항공모함, 구축함, 잠수함, 무인기 등을 확보하면서 해군력을 혁신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국방비는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약 27% 증강하였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은 국방과학과 연구개발의 투자비도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외국의 선진기술을 확보하고 국방을 혁신하기 위해서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레이저 무기, 레일건과 다종의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동북아시아의 해양안보환경 하에서, 한국의 주변해역은 우리나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