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본 연구는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및 관련 교육지원 단체의 협조를 받아 휴학, 제적 및 자퇴 등 학업중단의 경험이 있거나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의 위험요인은 학업 관련 요인과 건강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은 사회심리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인 학업 관련 요인은 전공 정보 부족, 기초학력 부족, 남북한 교육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은 신분노출에 대한 불안과 염려, 열등감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으로 인한 위축감, 미래에 대한 불안감, 우울감과 무력감, 음주 문제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으로 나타난 사회심리 관련 요인은 사회적...
[학술논문] 한 탈북청소년의 대학적응 경험
...분류된 유의미한 내용들을 영역별로 범주화 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적응, 학업적응, 개인적 특성, 정체성, 교육적 경험 등으로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북한에서의 성장과정, 정착초기, 중고등시기, 대학시기 등 순차적으로 범주화 하여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연구텍스트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는 북한에서의 교육적 배경으로서 학업중단, 탈북과정에서 가족해체를 경험하였고, 남한학교에서의 학업적응 과정에서 기초학력과 학업부담에 의한 심리·정서적 스트레스, 휴학, 진로갈등, 진로장벽 등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와 학교에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명하여 대학적응과정에서의 개별화된 특성을 사회의 맥락 속에 살펴봄으로써 독특한 교육적 특성과...
[학위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지원 대책 연구 :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있는데, 먼저 가정에서는 가족의 이별과 국내에서의 가족 해체 경험, 부적응 문제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진로 및 직업문제, 가족 폭력 등 다양한 갈등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학력 및 학업 능력의 차이로 중도탈락 사례가 가장 크고, 교사와 또래 친구와의 관계 불안, 학교 밖에서의 폭력 노출 등의 소속감 결여와 고립화로 인한 문제가 중첩되어 학업을 중단하는 사례가 많다 사회에서는 체제와 가치관의 급격한 차이,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 단절과 집단 따돌림, 부적응에 따른 일탈 행위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증상별로 그 원인이 다른데, 불안 증상은 북한이탈 과정에서의 도피생활, 가족과의 죽음과 이별, 체포와 송환의 두려움과 공포심의 축적 등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어린 시절부터의 시간의 연속성을 따라 북한과 남한이라는 장소적 변화에 따른 경험과 사회적 관계들을 연대기적으로 분류하였고, 그 분류된 경험들은 각각 문화적응, 학업적응, 진로결정, 심리적 특성 등의 대주제와 하위주제들을 범주화, 해석,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북한에서의 가정환경과 탈북과정에서 가족해체를 경험하였고, 북에서의 교육적 배경으로서 학업중단, 남한학교에서의 문화적응, 학업적응에서의 기초학력과 학업부담에 의한 심리·정서적 스트레스, 휴학, 진로갈등, 진로불안, 진로장벽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첫째, 문화적응이 발달시기의 특성에 따라 학업적응과 진로경로에서의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둘째, 학업적응 측면에서 학교 형태에 따라...
[학위논문] 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영향요인 탐색
...57%(통일부, 2023)에 이른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보다 나은 삶의 기회를 얻고 신분 상승을 하기 위해 학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대학 진입장벽으로 인해 대학 진학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남북한 교육·문화·언어적 차이, 학습 공백, 기초학력 저하 등에 따른 학업의 어려움으로 탈북대학생들의 학업 중단율은 일반 학생들의 두 배에 가깝다(김석향, 현인애, 조영주, 2016). 이에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적응을 도울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학업성취 영향요인에 대한 면밀하고도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수행된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적응 및 학업성취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고, 이들 연구는 주로 탈북 이후 한국에서의 배경에만 초점을 맞춰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