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역사
본 논문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이 남북통일을 향한 선교역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교회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입장과 복음주의(evangelical)의 입장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는데, 거기에는 차이가 있다. 복음주의 입장에서의 선교는 북한의 복음화에 집중하고, 반면에 에큐메니컬 입장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관점에서 통일 자체를 선교라고 본다. 이런 두 진영의 차이에도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문제는 선교신학적 차이를 넘어서서 민족적인 문제이며,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책무이다. 본 논문은 통일에 대한 관점을 통전적인 시각으로 전개하였다. 선교적인 관점에서 남북통일 문제는 에큐메니컬 입장이나 복음주의 입장, 어느 한쪽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총체적이고, 통전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 북한선교 역사와 현황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선교정책의 원리와 방향에 관한 연구 : 한국교회와 기독교 단체를 중심으로
It can be said that the goal of North Korea missions is the attainment of reconcili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Christian gospel, and its concrete, visible expression is the establishment of churches.
Consequently, in regard to Christian missions, which pursues essential change of human life, research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way of thinking
[학술논문] 한국전쟁 70년, 한국 개신교 북한 선교의 미래: 영화 <신이 보낸 사람>이 던지는 질문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다양한 종교적 활동 중 북한 선교는 남과 북이 갈라져있는 한반도의 현실 안에서 종교 단체가 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실천 행동이라 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복음 전파 및 교회 설립을 통한 직접적인 북한 선교 활동부터 북한 원조, 북한이탈주민들의 인권 보호, 그리고 기독교 통일 운동까지 다양한 선교 활동을 통해 남한과 북한의 관계 개선에 일조해 왔다. 올 해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70년이 되는 해이다. 비록 남과 북의 관계가 점차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분단의 현실을 마주하고 있는 지금, 그동안 한국교회가 실천해 온 북한 선교 활동에 대해 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북한 선교의 역사와 그간의 선교 활동을 모두 살펴본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바, 이 논문에서는...
[학술논문] 조동진의 북한선교: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 분단의 벽을 허물기를 원했다. 그는 민족의 화해와 평화, 그리고 통일로 나아가는 길에 남과 북의 교회가 하나가 되어 범민족교회를 이루기를 원했던 목회자요, 신학자요, 실천가였다. 그 자신은 당대의 규범을 깨뜨리고 경계를 넘어섰기 때문에 주변에서 많은 거부와 고립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거부와 고립은 조동진으로 하여금 계속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의 북한선교는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역사에 있어서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역사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