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기초로서 지금까지 행해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리학 연구를 종합적으로 개관하고 통일과 관련된 보다 체계적인 심리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심리학회지에 게재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총 56건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에서 북한이탈주민 대상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 국내 입국 현황과 그에 따른 심리학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리학 연구를 ‘남한 적응(문화적응, 심리적 적응 및 정신건강, 경제적 적응)’, ‘개인적 특성’, ‘관계적...
[학술논문] 한국심리학회의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13)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 산하 14개의 학술지에 2000년에서 2013년까지 게재된 통일, 북한, 북한사람, 북한이탈주민관련 연구 전수 50편에 대해 구조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심리학회의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동향을 확인하였다. 구조적 특성에는 학회지별, 연도별, 연구자별, 연구비 수령기관별 연구수를 확인하였고, 내용별 특성으로는 북한이탈주민 호칭별, 연구대상자별,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기간별, 연구방법별 연구수, 연구주제를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 주제는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차이, 남한과 북한 각각이 가지고 있는 통일에 대한 저항과 갈등 요소,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 적응 그리고 예상된 갈등 대처 및 개입 프로그램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들 구조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 및 연구주제들에...
[학술논문]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 분석
...여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나온 양적실증연구논문 최종 36편을 동향분석을 했다. 동향분석은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그리고 연구대상별 일반적 특성의 분석과 더불어 연구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여성 관련 논문의 출처를 분석한 결과, 탈북여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이었다. 둘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1편에 불과하였던 탈북여성 연구는 그 이후 2010년(8편, 22.2%)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 조사(24편, 66.67%), 2차자료분석(7편, 19.44%), 개입평가연구(3편, 8.33%), 구조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