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청소년들의 한국어 숙달도에 관여하는 변인 분석 및 성공적 북한 선교를 위한 제언
This study aims to study factors affecting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dwelling in Korea. 30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were asked to answer three different questionnaires designated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cculturative Stress and demographic background. This study adopts altered TOPIK for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일반적으로 기초적인 한국어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학습 결손을 보완하고 검정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입국 후 약 2~3년 동안 집중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재 개발의 주된 대상 집단을 만 14세 이상의 청소년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재 개발의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a) 자립적인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는 교재, (b) 일반 지식 및 상식 확장을 위한 교재, (c) 교과 학습에 필요한 기초 지식 습득 교재, (d) 적성 및 진로 탐색을 위한 교재, (e) 긍정적 자아 정체성 형성을 돕는 교재, (f)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재, (g)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재를 제안하였다. 한국어 능력 수준 Pre-1 단계부터...
[학술논문] 제3국 출신 탈북 아동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P학교 소속 탈북 아동과의 면담을 중심으로
...질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학교의 제3국 출신 탈북 아동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언어적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았다. 면담 결과, P학교의 제3국 출신 탈북 아동들은 아동기를 제3국에서 보냄으로써 기본적인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지 못한 채 남한에 입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국 출신 탈북 아동들은 낮은 한국어능력으로 인하여 학교에 들어간 이후에도 교사 발화 및 시험 문제 이해의 어려움, 원만한 교우 관계 및 건강한 자아 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신 탈북 아동들이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특별히 제3국 출신 탈북 아동들이 남한의 정규 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집중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