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한문교육과 그 추이
일제 식민시기를 거쳐 해방과 그 이후의 북한 어문정책은 기본적으로 ‘언어=민족’이라는 언어내셔널리즘을 배후에 둔 한글전용(국문전용)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한글(국문) 전용의 길에 방해가 되는 표기와 그 사용을 적극 배제하였다. 현재까지 북한의 어문정책은 언어내셔널리즘의 완결체를 보여준다. 국가가 법제로 한글 전용의 완성을 강제하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 성립시기에나 있을 법한 발상이다. 이는 어문생활의 사회적 요구와 현재의 어문 환경을 외면한 국수적 언어내셔널리즘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북한의 어문정책은 현실의 어문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내셔널리즘의 과잉 표출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북한의 한문교육은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축소되어 고급중학교 3학년에서만 배운다. 이는 이전의 양상과
[학술논문]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맞춤법 교수․학습 내용 연구
...규범 언어에 대해 유연한 시각을 확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어문 규범 교육의 목표하에서 남북한 맞춤법을 교육 제재로 활용할 때 학습자들이 규범 언어에 대해 유연한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남북한 맞춤법이 지닌 각각의 가치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문법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맞춤법을 비교․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구안하였다. 남북한 맞춤법은 음소적 표기법과 형태 음소적 표기법이라는 한글의 표기 원리를 공유하나 운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교육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쟁점 조항들을 비교․분석하고 교육 내용의 일단으로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점글자 분석연구
... 북한에서 “점글자”라고 불리는 점자는 박두성 선생의 한글점자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점자와 다른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점글자와 한글점자 사이의 차이점을 한글 표기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소개한다. 분석결과, 점글자는 한글점자와 달리 약자체계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아” 생략과 같은 점자표기의 경제성보다 정확성을 강조하는 점자체계로 보인다. 끝으로 된소리의 표기 등 일부 점자표기방식이 우리의 그것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자음 초성과 종성, 기초 모음 10개가 모두 송암 박두성 선생의 점자체계와 동일하다. 이는 남·북한 점자의 뿌리가 훈맹정음이고 향후 통일 후에 남·북한 점자의 통일에도...
[학술논문] 문장 부호 규정에 대한 일고찰 -남한, 북한, 중국조선어 문장 부호 규정의 비교와 동질성 검토-
남북한의 문장 부호 규정은 일부 차이가 나타난다. 그렇지만 현재의 다양한 문장 부호는 한글로 표기하는 문서에서 가능한 최대치의 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겹화살괄호(《 》)의 경우처럼 현실에서 사용되는 문장 부호는 규정에서 채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다양한 문장 부호는 한글 문서의 가독성을 높이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개정으로 동질성이 회복된 조항에 대하여 구체적인 내용과 체계를 확인하고 검토하는 것도 문장 부호 통합과 다양한 쓰임을 위해 필요한 일이다. 중국조선어의 문장 부호 규정은 그동안 북한 규정과의 유사성이 높았지만 남한 문화와의 접촉이 늘면서 최근 개정된 규정에서는 남한 규정을 받아들인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도 한글 문서의 문장 부호 규정에서 나타나는...
[학술논문]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맞춤법 교수·학습 내용 연구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남북한 맞춤법이 지닌 각각의 가치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문법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맞춤법을 비교․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구안하였다. 남북한 맞춤법은 음소적 표기법과 형태 음소적 표기법이라는 한글의 표기원리를 공유하나 운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교육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쟁점 조항들을 비교․분석하고 교육 내용의 일단으로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We teach standard language of pronunciation and orthography in gramma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