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적응 어려움과 대처 방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학술논문]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복합적 함의를 중심으로
...것이다.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4년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관련 요인에서는 남학생인 경우에, 가계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 중학생인 경우에,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가구유형 관련 요인에서는 소년소녀 가구, 한부모 가구, 조손가구, 다문화 가족,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경우에, 사회적지지 관련 요인에서는 가족지지, 친구지지, 선생님지지가 없는 경우에, 건강 관련 요인에서는 운동시간이 적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 청소년의 적절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학술논문] 취약 계층 유아의 삶 들여다보기: 코로나19로 인한 재난적 위기 시대의 다문화․북한이탈주민․한부모 가정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 계층 유아의 삶을 탐구하기 위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재난적 위기 시대의 다문화․북한이탈주민․한부모 가정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8명의 유아, 3명의 학부모, 4명의 교사이다. 유아교육기관 내 참여 관찰, 교사 및 학부모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염병 전염 염려와 방역으로 인하여, 취약 계층 유아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이 제한되었다. 둘째, 취약 계층 유아는 취약 계층 가정 배경 특성의 제한점으로 인한 교육 및 돌봄의 공백을 경험하였다. 셋째, 취약 계층 유아는 일상생활에서 미디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미디어 기기에 등장하는 과격한 놀이 모방을 하였다. 넷째, 취약 계층 유아는 소극적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