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인구구조의 변화추이와 시사점
...남북한이 통합될 경우 인구구조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북한의 합계출산율 및 유소년 인구 비중이 남한에 비해 높아 고령사회 진입 시점은 4년 연기되며, 2020년 이후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현재 남한 수준보다 증가하여, 2065년에 최대 4.3%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북한 통합시 고령화 속도는 독일 통일 이후에 비해 빠르게 진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낮은 1인당 소득수준을 감안하여 여타 개발도상국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북한은 인구고령화가 상대적으로 빨리 진전되고 있어 고령화가 더 진전되기 이전에 성장잠재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남북한이 통합될 경우, 북한 지역의 고령화 진전을 막기 위해 출산율 충격이나 인구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독일통일을 통해 본 남북한 인구통합 전망
...독일통일 이후 나타난 출산율과 기대여명의 변화를 남북한 인구통합에 적용하여;한반도의 미래인구 변화에 대한 전망을 시도했다. 독일 통일 이후 30년동안 동서독 지역간 합계출산율과 기대여명 격차는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통일 직후 나타난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는 독일의 고령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통일이후 남북한 인구추계에는 유엔세계인구전망 자료를 이용하였고;북한지역의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에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는 독일통일 사례와 남북한 특수성을 각각 반영하고자 했다. 독일의 경우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출산율이 절반수준으로 하락하고 기대여명이 서독수준으로 수렴하였는데;이를 반영하여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출산율이 하락하고 기대여명이...
[학술논문] 북한의 인구정책과 저출산 고령화 실태
본 논문은 먼저 사회주의 인구학의 기초가 되는 마르크스 인구론에 대해서 살펴보고 북한의 경우 마르크스 인구학이 어떻게 주체인구학으로 변모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해방 이후 북한의 인구정책의 변천 과정을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5단계로 나누어 분석했다. 북한은 최근 20년에 걸친 출산 장려 정책이 실패하면서 저소득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북한의 저출산 고령화 실태를 각종 통계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북한의 경제위기와 식량난, 그리고 저출산 고령화의 인구 문제를 함께 극복해나가는 것이 김정은 정권의 최대 과제이다.
[학술논문] 통일한국의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위한 제언
남한은 전 세계에서 합계출산율 최하위 국가이며, 인구 고령화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나라이다. 북한은 최빈국에 속하면서도 다른 최빈국 국가들과 비교할 때 저출산고령화의 문제가 심각한 나라이다. 본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저출산고령화 실황을 각각 설명하였다. 또 남북한이 통일할 때 두 나라 공동의 과제인 저출산고령화의 문제를 바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동서독 통일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였다. 그리고 통일 이후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위한 현실적 제언을 하였다. 남북한이 통일되면서 북한에서 남한으로의 대규모 인구이동을 막기 위해서는, 통일 직후 남한 정부는 북한 전 지역에서 주민들을 위한 의식주의 기본 생활을 보장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북한 경제협력을 통해 북한 내에서 충분한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