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연결구성 ― 헤드라인에 나타난 ‘주체’와 ‘사건’에 대하여 ―
...하나의 합성어와도 같이 기능하는 형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형식은 헤드라인에서 특히 다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매일 수많은 주체 또는 사건의 정보를 언어화해야 하는 신문의 경우, 특정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새로운 형식을 간편하게 만들기에 형태적으로 명사 범주가 유용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 모두 술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한 불완전한 술부를 활용하여 헤드라인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한국어 헤드라인의 연결구성이 조사 사용을 배제하고 키워드를 나열하여 형태적으로 합성어에 가까운 구성을 선호하는데 비해, 일본어의 경우는 어와 구의 중간적인 성격을 보이는 구성, 즉 통사적 요소가 포함된 탈경계적 형식이 빈번히 관찰된다. 일본어의 경우 통사적인 요소를 합성어 구성에...
[학술논문] 남한ㆍ북한ㆍ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 비교 연구
...있지만 같은 한자어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 대한 규정이 남한과 중국 조선족이 있으나 북한은 없다. 그리고 동화 현상의 차이는 받침소리 [ㅁ, ㅇ]뒤에, 모음 'ㅑ, ㅕ, ㅛ, ㅠ'의 앞에서는 남한과 중국 조선족은 [ㄴ]으로만 발음할 수 있지만 북한은 [ㄴ], [ㄹ] 이중 발음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잇소리 현상에 있어서 합성어에서 앞 형태소 뒤에 ‘이’음이 결합되는 경우와 중국 조선족이 한자어에서 보이는 특수한 경음화 현상에 관한 규정을 사잇소리 현상에 관한 규정에 포함시켰다는 등 두 차이가 있다. 이 차이들 중에서 비교적 논란이 된 것은 'ㅚ, ㅟ'의 발음, 'ㅕ, ㅖ'의 발음, 겹받침 'ㄼ'의 발음 등이다....
[학술논문] 북한어 말뭉치의 형태 분석에 관한 몇 가지 문제
...말뭉치 형태 분석 지침과 북한어 형태 주석 말뭉치 구축 과정을 검토하고, 이들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대규모 말뭉치 분석자와 사용자의 입장에서 북한어 형태 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문어 말뭉치 형태 분석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먼저, 남북한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를 분석할 때의 문제를 합성어를 중심으로 살폈다. 다음으로, 한글과 한글 외의 문자가 혼용되어 있는 어절을 처리하는 방식을 두 가지로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구어 말뭉치 형태 분석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먼저, 재구조화에 의해 조사와 어미를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 재구조화된 형태를 인정하되 조사나 어미가 분리되지 않으며 다른 통사 성분과 통사적 관계를 형성하지도 않는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