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사회의 합심(合心)주의 마음문화
...법치주의를 강조하는 점에서는 1980년대 중반 북한식 사회주의체제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북한에도 합심주의적 마음문화가 매우 발달해 있으며, 사회주의체제와의 합심, 수령•당•조국과의 합심, 가족과의 합심, 자신의 본심(양심)과의 합심 등의 합심주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합심주의 마음문화가 당위론적 주장으로만 거론되던 ‘전통문화에 근거한 남북한 사회통합’의 구체적인 문화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포착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통일 논의에도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심주의 마음문화는 북한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틀로서도 유용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