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우 전쟁의 대(對) 북한 교훈과 한국의 대응방안: 항공우주작전을 중심으로
...교훈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요소는 상호 결합하여 미래 북한의 군사력 발전을 야기함으로써 한국군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하기에 북한이 러-우 전쟁에서 얻은 이익과 교훈을 분석하는 것은 가장 한국적인 전훈분석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우 전쟁에 대한 전훈분석의 일환으로 해당 전쟁을 통해 북한이 무엇을 획득하였고, 무엇을 배울 것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여타 영역에 비해 그 연구가 미진하였던 항공우주작전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이 획득한 4가지 전훈 요소들이 그들의 항공 및 방공전력에 대한 구성과 운영을 어떻게 변모시킬지 가늠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한민국 공군의 변화 및 발전 방향에 대해 간략히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 핵 위협대응을 위한 지휘통제체계 발전방안 :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지능화 항공우주작전본부 구축
적보다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보장하는 지휘통제 체계를 갖춘다면 현존 전력만으로도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적에 대한 억제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핵·WMD 대응체계’의 실효성을 극대화하려면, 전력증강과 더불어 지휘통제 능력 향상이 병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핵·WMD 대응체계’의 ‘작전수행본부’가 활용할 지휘통제체계인 항공우주작전본부(Air & Space Operation Center)에 AI 기술을 적용하면 의사결정의질과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AOC에 AI 기술을 적용하면 북한의 재래식 및 핵․미사일 위협에 동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한・미 재래식핵통합(CNI) 구현을 위한 한국군 항공우주력 발전방향
...된 상황에서 한미동맹 기반의 확장억제 신뢰성 제고 차원에서 등장한 재래식핵통합(CNI)의 본질을 살펴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국군의 항공우주력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래식핵통합(CNI)의 본질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북한 핵 위협의 실태를 분석하고 재래식핵통합(CNI) 개념이 한반도에 등장하게 된 한미협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 전략문서와 핵 작전 교리들에 나타나는 핵 운용 개념, 미국이 냉전시대부터 적용해온 재래식핵통합(CNI) 개념이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한국군 항공우주력 발전방향으로는 공중 이중무기운영 능력(DCA) 확보, 재래식핵통합(CNI) 수행을 위한 지휘관계 확립, 항공우주작전계획 및 다영역임무명령서(MDTO)의 진화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한・미 재래식핵통합(CNI) 구현을 위한 한국군 항공우주력 발전방향
...된 상황에서 한미동맹 기반의 확장억제 신뢰성 제고 차원에서 등장한 재래식핵통합(CNI)의 본질을 살펴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국군의 항공우주력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래식핵통합(CNI)의 본질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북한 핵 위협의 실태를 분석하고 재래식핵통합(CNI) 개념이 한반도에 등장하게 된 한미협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 전략문서와 핵 작전 교리들에 나타나는 핵 운용 개념, 미국이 냉전시대부터 적용해온 재래식핵통합(CNI) 개념이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한국군 항공우주력 발전방향으로는 공중 이중무기운영 능력(DCA) 확보, 재래식핵통합(CNI) 수행을 위한 지휘관계 확립, 항공우주작전계획 및 다영역임무명령서(MDTO)의 진화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