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의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2007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주목하여 국내정치 행위자들의 역할과 영향력을 간과했다. 그러나 남북한의 정치 발전과 변화를 고려하면, 남북관계의 동학에서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은 매우 강화되었다. 이 연구는 양면게임이론을 이론적 자원으로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협상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쟁점은 경제협력 강화와 군사적 긴장 완화를 추구한 남한의 입장과 서해 해상경계선을 재설정하려는 북한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남한의 경우 안보문제를 중시하는 보수세력의 격렬한 반대로 협상의 자율성이 상당히 위축되었으며, 북한의 경우는 유일지배방식에 의한 반대 의견의 부재 또는 통제 가능성으로 인해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이 강하게 작용한 남한의 윈셋은 축소되었고,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에서 자유로운...
[학술논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재론과 경계 갈등
이 글의 목적은 NLL에서의 남북 간 충돌사례를 통계적으로 확인한 후, 남북한 군사충돌방지를 위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합의과정을 살펴보고,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상의 함의를 ‘경계와 탈경계’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는 남과 북이 각각 주장해 왔던 해상경계선을 넘어 남북 공동의 평화협력지대를 만들고 군사적 충돌을 막으며 공동번영을 모색하는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탈경계 시도다. 하지만 ‘자유 대한민국’의 ‘국가 정체성’을 내세운 보수정권의 반발로 탈경계 시도는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했다. 문재인 정부가 다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추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문재인 정부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학술논문] 북한 공역의 통일 후 지위
...항공기의 용이한 식별, 위치 확인 및 통제가 요구되는 공역으로서, 해당 국가가 일방적으로 설정한다. 미국은 1951. 3. 22. 전시포고령에 의하여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였는데, 국방부는 2013. 12. 8. 이어도 상공을 포함하는 지역까지 확장한 새로운 KADIZ를 선포하였다. 현재 북한의 군사경계수역은 동해․황해 등 해상경계선으로만 설정되어 있는 점, 중국․러시아와의 관계에서 ADIZ로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보면, 통일한국이 이를 승계할 의무는 없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종심(縱深)이 짧기 때문에 영공보다 외곽에 ADIZ 경계선을 설정하여야 ADIZ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통일한국의 인천 FIR과 일치하는 경계선으로 통일한국의 KADIZ를 새로 설정하여...
[학위논문] 평화협정 체결 사례와 한반도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강승관 #한반도평화협정 #한국정전협정 #종전선언 #UN사령부 #주한미군 #서해해상경계선 #전환기 정의 #이행기 정의 #북한인권 #국군포로 #2+4협정 #이스라엘-이집트 평화협정 #이스라엘-요르단 평화협정 #미국-베트남 평화협정 #캄보디아 평화협정 #데이턴 협정 #벨파스트 협정 #성금요일 협정 #코소보 협정 #남북군축 #평화통일 #peace agreements #peace treaties #the law of peace #Korea armistice agreements #arms control in Korean Peninsula #UNC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NLL #transitional justic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학술논문] 북한의 해상경계선 주장 변화와 남북군사협상 - 북한의 ‘서해 해상경비계선’을 중심으로 -
...고찰해 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가 가진 정전협정과 NLL에 대한 국제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북한이 주장해 온 ‘서해해상경비계선’을 중심으로 군사협상에서 나타난 북한의 변화를 살펴보고 대응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NLL에 대해 남측은 실질적인 해상경계선으로 새로운 해상불가침 경계선이 확정될 때까지 NLL을 확고히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이고 북측은 합의 없이 그어진 불법적인 선으로 새로운 해상경계선을 설정하는 것만 해결방법이라고 주장한다. 북한은 안보환경과 해군력 증가에 따라 NLL의 기본입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협상전술 차원에서 주장을 변경시켜왔다. 1977년 ‘해상군사경계수역’ 설정을 시작으로 1999년에 ‘조선 서해해상 군사분계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