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주변국 해군력 증강과 한국의 대응방향 - 해군력의 증강방향과 함정과학기술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
...일본, 러시아와 북한 해군은 신형의 항공모함, 구축함, 잠수함, 무인기 등을 확보하면서 해군력을 혁신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국방비는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약 27% 증강하였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은 국방과학과 연구개발의 투자비도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외국의 선진기술을 확보하고 국방을 혁신하기 위해서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레이저 무기, 레일건과 다종의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동북아시아의 해양안보환경 하에서, 한국의 주변해역은 우리나라의 사활적인 국가이익의 중심에 있다. 한국해군은 해군력을 강화해야 하며, 첨단 함정기술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 북한해군 및 주변국의 해군과도 해전에서 승리하는 것이 한국해군의 주요 임무이자 존재의 이유인 것이다.
[학술논문] 해양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의 해상교통로 보호방향
최근의 세계적인 안보환경 변화는 해양을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다. 먼저 북한의 핵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을 포함하는 다양한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에 따른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ir Defense) 배치 문제 등이 복잡하게 대립하고 있는 한반도 주변 국가들과 남중국해 연안국을 중심으로 해군력 군비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빙현상으로 풍부한 천연자원과 해상교통로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북극해를 둘러싼 신냉전 구도가 형성되고 있으며, 북극이사회의 정식옵서버에 선정된 한국의 위상에 부합된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해상교통로에 대한 실질적인 위협인 해적의 경우 소말리아 해역에서는
[학술논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요인과 한국의 대비과제
...위협에 대응해 국가의 영향력과 해양영토 문제 등 상충되는 이익을 확보하고자 역외 패권국인 미국과 이에 도전하는 중국, 그리고 일본은 공세적 해양전략을 추구하고 해군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으로 우리의 안보와 직결된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을 분쟁 지역화하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군사도발을 자행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위협의 수위를 조종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같이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환경은 군사적ㆍ비군사적 위협이 중첩되고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한국은 해양에서의 국익을 보호하고 국가의 안전보장을 담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과 해군의 역할을 발전시키고 해군력을 적정 수준으로 증강시켜야 한다. 아울러 정부유관 부처간 효율적인 해양관리 체계를 구축하며 지역국가들과 다각적인 해양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나가야 될 것이다.
[학술논문] 한반도 해양 평화를 위한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평가와 과제
한반도 해양 평화를 위해서는 해양 안보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해양경찰의 정보기능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향후 발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해양 안보 환경의 변화는 한반도 주변국의 해양 패권 경쟁과 정보기능 강화, 신흥안보 위협의 등장과 정보 패러다임의 변화, 북한의 무력도발과 대북 해양정보의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특징 및 평가는 치안·안보 정보의 균형적 정보 패러다임 추구와 국제정보국의 출범 및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활성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해양경찰의 정보기능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정보 수집·분석 능력의 강화와 정보 인프라 확충, 국내외 해양정보 공유・협력 체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