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행정벌에 대한 고찰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in North Korea is a means of the class struggle in order to complete socialism, and it is also a means of controlling its people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Juche Idea. It is roughly constituted of the criminal liability and the administrative respon- sibility. In North Korea,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s are comprehensively authorized in the Criminal Law and the
[학술논문] 북한의 주민통제 체제와 법제에 관한 고찰
...직면해 있고, 대내적으로는 자본주의 물결이 서서히 유입됨에 따라 사회주의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사회주의 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주민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북한의 주민통제체제는 북한의 모든 기관을 통제체제로 구축하고 있으며, 주로 최고 권력기관인 중앙노동당조직부, 인민보안부등에 의하여 인민보안단속법, 행정처벌법에 따라 기관, 기업소, 단체와 주민을 대상으로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주민통제 체제와 주민통제의 근거 법에 관한 검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주민통제정책과 통제체제를 살펴보고, 북한의 주민통제법제인 행정처벌법, 인민보안단속법에 따라 주민통제의 유형은 어떠한 형태가 있으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 해보았다.
[학술논문] 북한의 주민 일상에 대한 법적 통제 :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범죄규정화를 중심으로
...명목적인 또는 죽은 법으로 평가하는 기존 연구시각을 뒤집고자 수행한 연구였다. 2000년대 초 북한법률 가운데 특히 일탈과 범죄의 통제수단인 형법 및 치안·행정처벌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북한의 사회변화를 대표하는 구성원의 사회적 일탈행위인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이의 통제수단인 이들 법률의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에서 법과 사회가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범죄규정화’ 용어를 개념적 도구로 사용하여 북한의 형법 및 행정처벌법상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위법행위규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의 특징과 의미를 해석하였고, 법과...
[학술논문] 남북한 경찰법제 통합의 과제
...고찰하였고, “Ⅴ. 남북한 경찰작용법제 통합의 과제”에서는 잠정적인 경찰작용법의 제정, 개별 경찰작용법제 통합으로서 통합경찰작용기본법의 제정 그리고 형사소송법, 행정처벌법 및 행정질서벌 관련 규정들의 통합을 각각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남북한 경찰법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고 그것도 주로 경찰행정학에서의 경찰행정조직과 관련된 연구를 하여 왔다고 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는 행정법적인 관점에서 경찰행정작용법에 보다 더 중점을 두고 남한의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대응하는 북한의 인민보안단속법을 비롯한 북한의 행정처벌법, 형사소송법, 소방법 등에 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외 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여・야를 떠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초당적인 통일정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