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향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ㆍ당성ㆍ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발견이었다. 개별 노래들의 해석에서 이념적 과잉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