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의 해방: 북한 자주화와 1956- 57년의 중국-북한관계
...‘조선반도의 안정적인 현상유지’는 중국의 대북정책의 목표였으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중국은 북한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특히 1956년 9월, ‘8월 종파사건’에 대한 중소의 공동개입은, 중•조 간의 비대칭 관계의 상징이었다. 1956년 11월 초 김일성과 비슷한 정치적 압력을 받고 있던 헝가리에 대한 소련군의 무력개입과 뒤이은 헝가리 임레나지(Imre Nagy) 정권의 붕괴는, 김일성의 불안감을 극도로 자극하였다. 이에 김일성은 ‘조선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 테이블에 유엔을 초청”할 것을 중국과 소련에 제안하고, 동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요구로 맞섰으며, 양국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김일성의 철군요구에 마오쩌뚱은 대화를 통해 양국간의 긴장을...
[학술논문] 안보위협에 대한 공동인식과 북중관계의 ‘탄성’
...유화정책을 실시하면서 양국관계의 긴장은 완화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외부의 위협이 아닌 1956년 10-11월 폴란드·헝가리 사태로 인한 사회주의 진영의 내부적 위기가 긴장완화의 배경이 됐다는 사실이다. 폴란드·헝가리 사건은 사회주의 진영 전체를 혼란과 충격 속에 몰아넣었다. 소련은 사회주의 진영의 안정과 단결을 위해 폴란드·헝가리 사태에 적극 관여했고, 중국도 소련의 정책과 방침을 적극 지지하였다. 북한도 동유럽 사태 처리에 대한 중소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헝가리의 ‘반혁명 세력’을 강하게 비난하였다. 폴란드·헝가리 사태에 대한 북한과 중국의 일치된 입장은 양국관계의 긴장이 완화될 수 있던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사실은 북중관계의 긴장을 해소하고...
[학술논문] 1956년 헝가리 사태에 대한 남한의 인식과 대응
...헝가리에서 시작된 반소 봉기에 대해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졌음에도 직접적으로 개입하고자 했다. 먼저 남한 정부와 신문들은 헝가리 사태를 반소에서 시작하여 반공으로 확대되어 반공자유세계의 범위가 확대되길 원했다. 따라서 남한정부는 적극적으로 헝가리 의거민을 위한 의연금 모금 및 자유세계의 헝가리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나아가 헝가리 사태는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남한에서는 헝가리 사태가 1956년 11월 한 달 내내 헝가리 인민들이 반소와 반공을 부르짖으며 봉기했듯이 북한 인민들도 들고 일어나길 바라는 북한동포궐기촉성 대회가 전국적으로 펼쳐졌다. 흥미롭게도 남한 정부와 신문이 북한동포가 들고 일어날 수 있는 이유를 일제 식민지 시기 함께 반일을 했던 한민족의 민족성에서 찾았다. 헝가리 사태를...
[학술논문] 중공의 북한과 동유럽 사건 개입에 대한 고찰
...노선에 충실하였고, 중소에 대한 지지도 확고하였다. 중공은북한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바꾸고 북한에 대한 유화정책을 통하여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 나갔다. 1956년 10-11월, 동유럽의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위기와 혼란이 고조되었다. 폴란드의 고물카 정권은 소련과의 긴장된 관계를 해결하면서 국내의 혼란을 안정시켰다. 반면에 헝가리의 임레나지 정권은 소련과의 악화된 관계를 해결하지 못하였고, 결국 헝가리 사태는 소련의 군사개입으로 해결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중공은 동유럽에서 발생했던 폴란드와 헝가리 사건에도 관여하였다. 중공은 사회주의 노선에 충실했던 폴란드에대해서는 대화와 타협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하였고, 사회주의 노선을 이탈하고자 했던 헝가리에 대해서는 무력을 통한 해결 방식을 지지하였다.
[학술논문] 1950년대 중반 북한 지식층의 체제 비판과 개혁 요구 -중소의 내정 간섭과 헝가리사태가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 제 국가들의 개혁 운동을 촉발하며 사회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을 무렵, 북한에서도 체제개혁을 요구하는 지식층의 목소리가 높아져 갔다. 1956년 8월 말 조선노동당 지도부에 반기를 든 연안계와 소련계 한인들이 탄압받은 직후, 소련과 중국이 북한내정에 개입하자 그들을 겨냥한 탄압에 제동이 걸리며 자유의 공간이 확대되기시작했다. 바로 그 무렵에 일어난 헝가리사태는 해외 유학생들을 비롯한 북한의지식층이 자국 내 상황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했다. 그들은 경제문제 해결을외면하고 있는 국가 지도부를 비판하며, 자유와 민주화를 향한 열망을 직설적으로 표출하기까지 했다. 이 연구는 체제 개혁을 요구한 1950년대 북한 지식층의목소리가 어떠한 배경 아래 등장하고 어떻게 탄압을 받으며 자취를 감추어가는지 그 전모를 살펴보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