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북한이 김정은 체제의 안착과 그의 유일한 지도권 확보를 위하여 어떻게 정치사회화를 해나가고 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정치사회화의 헤게모니이론은 강제력이 다수의 동의에 기반 한 것이라는 것을 믿도록 만들려는 시도로, 북한의 정치현상을 분석하는데 적실성이 있다. 북한이 ‘김정은 띠우기’라 할 수 있는 정치사회화를 진행시켜온 것은 후계자로 공식화되기 이전부터였다. ‘청년대장’ 김정은을 인민에게 각인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치밀한 작업을 하였다. 2010년 당규약 개정에서 ‘청년중시노선’을 제창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는 않다. 김정일 사망 직후 북한은 김정은을 최고영도자 내세우면서, 전체 인민들은 존경하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를 충직하게 받들고...
[학술논문] 물의 권력 게임 : 하이드로 헤게모니와 남북 공유하천의 협력과 갈등
본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인 임진강과 북한강을 대상으로 하이드로 헤게모니 이론을 적용하여 남북한 협력과 갈등의 역학을 분석했다. 임진강과 북한강에서 북한은 상류국으로서 지리적 우위를 가지지만, 남한의 대응 전략에 따라 북한의 일방적 헤게모니 행사가 제한되었고 협력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임진강에서는 남한이 하류 지역에 대한 통제와 군남댐 등 전략적 시설의 기술적 우위, 대체 수자원 확보, 생태 평화 담론을 활용함으로써 북한의 일방적인 헤게모니 행사가 효과적으로 제한되었다. 반면, 북한강에서는 북한은 유량 조절, 기술 격차와 불안정한 수자원 관리 능력, 절대적 영토주권주 담론을 통해 일방적인 헤게모니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남한은 수도권 상수원의 전략적 중요성과 높은 의존도로 인해 북한의 권력 행사를 효과적으로...
[학위논문] 북한의 집단주의 특성요인과 심리적분석에 관한 연구
...변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치사회화 이론과 함께 신제도주의적 접근을 통하여 북한 집단주의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려고 한다. 또한 전체주의 사회심리연구를 바탕으로 주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코르나이(Kornai)의 사회주의체제 성립과정과 그람시(Gramisci A.)의 헤게모니이론을 근거로 북한 집단주의 강제적 성격과 자발적 성격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제도주의이론과 전체주의 사회심리연구를 바탕으로 집단주의 인지적 요인(당규범 인지) 심리적 요인(분리불안) 내면화 요인(체제 공포·체제 호감·지도자 신뢰·체제 충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위와 같이 도출된 북한 집단주의 요인에 대해 30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