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춤의 전통성과 현대성에 관한 一考察: < 조선예술>의 무용기사를 중심으로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상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는바, 문헌은 1956년 창간호부터 2000년 6월호 까지를 대상으로, 각 호별 차례 면에서 무용항목을 검색하여 전체기사 468편 가운데 수집 가능했던 344편의 기사를 검토, 분석하다. 또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여 무용작품에서의 전통성과 현대성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북한에서는 무용에 있어서 항일혁명무용유산과 민족고전무용유산 가운데 인민적 무용유 산을 계승, 발전시키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파악했다. 또한 계승과 발전에 서의 원칙으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입각해 내용면에서는 혁명성을 강조하고 형상면에서는 민족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무용창작에 힘쓰며, 이를 인민의 사상교양수단으로 복무시키는데 힘써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예술』에서...
[학술논문] 북한 혁명무용의 이해
This study began with the hope of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commu- ni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world, which was completely blocked by differences in ideology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three dicta- torships, we looked a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ance and found that the common aspect was the creative form for revolution. Although North Korea's ethnic dance has been transformed
[학술논문] 북한 민속무용 ‘농악무’의 고찰
연구목적: 이 연구는 남북한 통일 준비를 위한 일환으로 북한 문화예술을 이해하고향후 그들과 함께 공존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농악에 대한이해와 함께 북한 ‘농악무’를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악무악기와 소품 구성이 남한과 같은 형식이다. 둘째, 농악무 과정에서 타악기 연주자들의특수한 기량을 보였다. 셋째, 농악무과정이 규격화된 무대 위의 예술 보다는 일반 북한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며 공유하였다. 넷째, 장끼동작 등의 용어와 내용이 남한과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다섯째, 고유한 우리민족 장단을 변형시키지 않고 보존하고 있었으며 평민 복에 삼색 띠를 두른 의상도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론: 후속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와 비교분석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