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 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ntemporary novels in 11 new literature textbooks for high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novels in new literature textbooks compared with thos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ar on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Literary works portrays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 structure are selected more. 2. Literary works presented by mass media such
[학술논문] ‘통일교육’을 위한 ‘문학’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 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
...통일교육의 양상을 살펴 본 것이다. 교육과정에 반영된 ‘통일교육’은 반공교육이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은 3차 교육과정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7차 교육과정 및 개정 2009, 2011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 구체화되었다. 이 글은 2012 고시 새 문학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하여 현대소설수록 양상을 살펴본 후, 통일교육의 반영을 확인한 것이다. 11종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한 교육내용을 담고 있는 교과서는 모두 8종이었다. 2009 개정 문학교과서 13종에서 8종의 교과서가 ‘통일교육’을 반영한 것과 비교하면 교육과정에 충실한 모습이다. 다만, 수록된 소설이 <광장>과 <장마>, 북한소설 <쇠찌르레기>와...
[학술논문] 고급중학교 『국어문학』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현대소설/영화 단원을 중심으로
이 글은 북한의 현행 2013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과목의 교과서와 교수참고서를 대상으로 북한에서 이뤄지고 있는 현대소설/영화 교육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북한의 문학교육과 현대소설/영화 교육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북한은 <국어문학> 과목을 통해 국가에 이바지하는 충성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정치사상 교양과 혁명적 정서를 키워주는 동시에 사회생활에 필요한 말과 글, 문학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충분히 체득시키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삼고 있다.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는 주제 중심으로 편성되었고, 이전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에 비해 더욱 실질적이며 체계적인 단원 구성을 취하고 있다. 북한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소설의 비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