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신문에 나타난 「혐한」언설의 의미 고찰 - 1992년부터 2015년까지의 아사히신문(朝日新聞)과 산케이신문(産経新聞)을 중심으로 -
...같은 시기, 산케이와 아사히 모두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한 대부분의 기사가 「혐한」언설로는 표현・게재되지 않았다. <제3기 : 2012-2015>「혐한」언설은 혐한서적을 비롯한 보수계 잡지, 주간지, 일간지 등을 통해서 불특정다수인 일반 국민들에게 전달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기에 발족한 한일 양국의 현 정권은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역사인식의 차이로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미디어는 서로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언설을 전개했다. 이와 같이 국교정상화 이래, 최악의 한일관계를 배경으로 「혐한」언설 역시 한국 국민 모두가 「반일」인 것처럼 보도하면서, 「반일」외교, 「반일」행위라고 라벨링하며, 「혐한」의 모든 원인은 「반일」보도를 하는 한국 미디어와 「반일」국가인 한국정부에...
[학술논문] 스포츠 내셔널리즘과 재일코리안 선수들의 대응
본고는 근현대 스포츠와 내셔널리즘의 친화적 상관관계에 주목하면서 스포츠계를 둘러싼 일본 내 ‘혐한(嫌韓)’ 언설이 어떠한 환경에서 배태, 형성되어 스포츠 내셔널리즘의 권위를 획득해 갔는지를 살폈다. 주로 축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프로리그인 J리그와 서포터 문화, 월드컵을 비롯한 국가 대항전을 둘러싼 소동, ‘넷우익(Net右翼)’의 등장배경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이 같은 스포츠 내셔널리즘의 확대와 한일 양국의 배외주의에 대해 3세대 이후 재일코리안 스포츠 선수들이 국적과 시민권을 넘나들며 활약하는 모습과 그들의 복수 아이덴티티를 이충성, 정대세 선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면서 그 대응방식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한일 양국의 배외주의의 협공을 받으면서도 3세대 이후 재일코리안...
[학술논문] 오사카 원코리아페스티벌의 패러다임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다문화공생과 관계되어 있다. 제2차 패러다임은 남북한 관계의 변화, 한일의 역사 갈등, 중일의 영토 갈등, 코리안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었다. 두 차례에 걸친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 긍정과 부정의 평가가 교차하고 있지만 원코리아페스티벌의 공동체 제안은 선언적 의미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의 천황사죄 발언과 독도 방문, 혐한시위, 극우성향 시장의 비협조, 민단과 조총련 중앙본부의 비협조, 오사카에서 일본인 및 재일코리안의 다양한 축제 개최로 인한 관심의 부족 등 외부 변수가 영향을 주어 참여율의 저조로 나타났다. 내부 변수로는 패러다임의 전환, 획일적인 프로그램의 운영, 일회성 및 이벤트성 행사, 주최 측의 노령화, 재원의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규모 축제로 전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