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법교육의 연구 현황과 전망
Our discussion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henceforth abbreviated as SCE) has been ongo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cation theory. Heated debates are frequently obser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ivil democracy and the spread of mass media such as radio, TV and movies. Research may start with microanalysis and ends with macroanalysis, or vice versa. The definition of SCE became
[학술논문] 남북한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 내용 비교 -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남북한은 영역별로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북한에서는 설명과 해설 중심으로 듣기교육 성취기준을 제시 하여 정보전달적 말, 설득적 말을 강조하고, 친교적 말이나 정서표현의 말은 상대적으로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의 감수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표현 의사를 존중하는 교육보다는 설득 위주의 목적성을 지닌 화법 교육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 교육과정의 여집합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조정, 영역 통합 성취기준에 대한 조정, 위계화 기준에 대한 합의 등은 통일 대비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사회통합 역량 틀과 2015년 남한 교육과정에서 논의하고 있는 국어과 교과 역량, 국어과 내용 영역을 좌표화하여 통일 대비 통합 교육과정의 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