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두산 화산재해와 북한 급변사태에 관한 소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분담 등을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백두산 화산 재해 및 급변사태 대비를 위한 정책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이루어진 한반도 통일과 주변국 관계에 관한 연구에 바탕하여 국제적 협력의 구도를 탐구한다. 결론적으로 백두산 화산재해를 전제한다고 할지라도 그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기구 혹은 제도의 창출이 쉽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예측 가능한재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치·경제적 상황의 진전과는 별개로 백두산 화산에 대한 북한과의 순수한 과학적 공동작업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학술논문] 백두산 화산재해 시나리오의 사회적 비용 연구
백두산 화산 분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 시나리오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기 위해, 황사 및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평가 방법을 검토하였다. 국내외적으로 황사를 비롯한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조건부가치측정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설문조사를 통해 수많은 화산재 피해 시나리오의 사회적 비용을 평가하는데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차선책으로 편익이전기법을 이용하였다. 편익이전기법은 단위 오염물질의 평균피해비용에 오염물질의 총유입양을 곱하여 총피해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화산재 확산 시나리오의 피해비용을 산출하는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백두산 화산 분화 시 국내에 유입될 것으로 보이는 화산재는 미세먼지와 유사한 형태로 피해를 입힐 수 있음을 고려하여
[학술논문] 백두산 화산폭발 시나리오 개발 및 상황별 대응과제 도출
...위력은 인근의 중국, 북한은 물론 국내, 동북아 지역, 나아가 전 세계까지 엄청난 피해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이런 초대형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발생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능력 확보 및 재난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화산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하여 백두산 화산폭발 시나리오 개발과 각 시나리오별 대응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외 대형 화산재해 사례 분석을 통하여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 상황 및 화산재해 대응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백두산 화산폭발로 발생 가능한 피해영향을 인과지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두산 화산폭발 4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시나리오별 발생, 확산, 정점, 종결 단계별...
[학술논문]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한 라하르 범람지역의 예측: 백두산 화산에 적용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전형적인 산지 지형으로 잠재적 분화 가능성이 있는 화산이다. 화산지대에서 발생하는 라하르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주요 화산 재해 중 하나이다. 백두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라하르에 의한 영향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침수영역을 수치모의 하였다. 백두산의 근위위험지역경계(proximal hazard zone boundary; PHZB)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치표고모델(DEM)에 추가적인 750 m의 고도를 가정하여 수치모의에 필요한 H/L비를 0.10으로 설정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하여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부피를 각각 1×106, 5×106, 1×107, 5×107,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