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산림협력 시나리오와 환경정치의 현실화
...산림협력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연구는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전략의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관계와 같이 불확실성이 큰 사안에 대해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연구방법은 유의미성이 크다. 남북 산림협력사업은 핵심변화축인 남북관계와 북한의 대외관계가 모두 경색되었을 경우에도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산림복구사업이 최근 ‘환경정치’, ‘환경안보’ 등으로 중요시되는 환경적 사안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보통 시나리오 연구가 핵심변화동인 2가지를 통해 2×2로 4가지 경우로 진행되지만, 본 연구는 핵심변화축에 북한의 산림환경 변화가 추가되어 2×2×2, 즉 8가지 경우로 각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시나리오는...
[학술논문] 대북정책 결정의 정치적 환경과 대통령의 영향력: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정책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결정과정에서 대통령의 영향력이 제한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제도적 요인과 정치적 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통령은 국가수반으로서 대북정책에 대한 최고 결정권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대북정책에서 대통령의 영향력이 언제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권력분립과 민주주의의 제도화에 의한 관료정치, 분점정부 여부나 대통령의 남은 임기 등 정책을 추진하는 시점의 정치적 환경, 정책의 특수성 등 여러 요인들이 대북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영향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남북한 정상의 합의로 계획되었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에 관한 정책결정 과정의 동학을 분석하여, 그 과정에서 대통령의 영향력이 제도적 환경과 정치적 여건에 의해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학위논문] 북한의 핵확산 성공과 ‘북-중-미’전략적 상호작용 분석 : 핵확산전략이론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완성시켰는지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나랑(V. Narang)의 핵확산 전략 이론이 필요하다. 나랑(Vipin Narang)은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지금까지 핵무장을 추진했던 29개 국가를 비 교·분석하여 유형화해 ‘핵확산전략이론’을 내놨다. 그에 따르면 핵무장을 추진했던 국가들은 국가별 국내·외 안보환경과 정치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헤징형(기술형, 보험형, 고강도 형), 전력질주형, 은닉형, 강대국 비호형 4가지의 유형으로 핵확산전략을 선택한다는 것을 밝 혀냈다. 본 연구는 뎁스와 몬테이로의 핵확산전략 이론을 바탕으로 주요 분석틀을 만들고 나랑의 네가지 핵확산 유형을 분석도구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북한의 지난 약 40년에 걸친 시기를 ‘핵확산...
[학술논문] 김정은 집권 이후 '생태환경정치'의 출현
본 논문에서는 김정은 시대에 북한에서 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하고 통치에 활용하는 ‘생태환경정치’가 출현했다고 보고 이를 논의한다. 산림복구전투로 시작된 생태환경정치는 이전 시대와 차별화되는 ‘황금산’ 등의 표상을 통해 사회주의강국의 비전을 제시한다. 주체사상의 자연개조사상이 일정한 한계와 모순을 내포하고 있어 생태환경정치의 이데올로기로 김정일애국주의가 작동한다. 김정은 시대 생태환경정치는 생산력을 우선에 뒀던 과거와 달리;생태환경의 가치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지만 양가적인 측면을 띠고 있다. 생태환경정치의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한다는 점;둘째;생태환경의 상징화가 이뤄지고 영향이 확산된다는 점;셋째;생태환경 인식을 애국심과 등치시킨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