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주주민을 향한 환대의 선교
...북한이주주민들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북한이주주민들의 부정적인 한국교회 경험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인터뷰에 따르면, 북한이주주민들에게 교회는 부담스러운 곳으로 인식될 때가 많으며, 기독교의 가르침은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교회의 문화상대주의적인 시각의 결핍과 북한이주주민에 대한 도구적 접근, 비대칭적인 관계 설정 등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북한이주주민들을 향한 선교사역이 하나님의 환대에 기초하여 재구성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성급하게 북한이주주민들을 변화시키려 하기 보다는 그들의 고유한 정체성과 독특한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복음을 소통하는 환대의 선교를 통하여 믿음의 공동체를 함께 세워가야 하는 것이다.
[학술논문] 한국교회의 다문화 환경 변화에 따른 선교적 역할과 방향성 연구
...변화하였고, 한국교회의 선교적 역할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체류 외국인의 수는 약 26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를 넘어섰으며,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난민, 외국 국적 동포, 북한이탈주민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해외 선교의 틀을 넘어, 국내 이주민 선교라는 새로운 사명과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성경적·신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와 환대의 본질을 조명하고, 한국의 다문화 환경 변화, 이주민 정책 및 법 제도의 발전 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한국교회의 이주민 선교 현황을 고찰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진단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이주민 선교전략을 제안한다. 특히...
[학위논문] 평신도의 선교적 환대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 정착사례를 중심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의 핵심 구성원인 평신도의 삶을 추적해 환대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그것의 실천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민들의 남한정착을 도왔던 평신도 선교사들의 ‘선교적 환대’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선교적 환대’(Missional Hospitality)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일환으로 평신도가 세상 한복판에서 보여주는 삶을 통한 복음 증언으로서 철저한 타자 중심적 자비사역을 가리킨다.
본 논문은 그동안 교회 중심으로 머물러 있던 성도들의 신앙생활이 삶의 현장으로까지 나아가기를 촉구하며, 성도들이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임무를 감당할 때 그들의 세상에서의 삶이 지역과 사회가 생명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