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철산의 역사민속학연구-사학사상의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
황철산은 북한과 남한 모두에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역사민속학자이다.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주창하는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입장에서도 황철산은 잘 모르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북한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실장으로서 북한민속학의 토대를 구축한 인물이다. 더욱이 그의 연구방법론은 철저하게 역사민속학의 입장에 근거하였다. 북한의 역사민속학에 대한 본질적 연구가 미진한 상태에서 북한민속학의 사학사적 궤적을 옳게 알아채리는 연구자가 오늘날에도 거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황철산은 민속학방법론,역사과학에서의 민속학의 위상, 물질 생산민속, 종족문제 해결에서 민속학이 개입하는 위상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업적을 냈다. 그의 역사민속학을 통하여 남북의 통합된 역사민속학서술을 가능케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 역사학계의 고조선 종족집단 인식의 변천과 특징
...고조선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종족집단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 그 특징을 살펴 본 글이다. 초기 북한 역사학계에서는 전통시대와 식민지시대의 고조선 종족집단 연구를 토대로 관련 연구가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지역에 거주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는 종족 이름과 거주지역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연구자는 리지린과 황철산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특히 리지린은 선진시대의 문헌부터 후대의 문헌들까지 섭렵하면서 향후 북한의 고조선 및 종족집단 연구의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종족집단에 대한 연구는 이들 집단의 거주 양태를 증명할 수 있는 고고학 방면의 연구들에 의해 보강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 당시의 논점은 선진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는 예맥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와...
[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에서 전개된 김일출의 조선민속학 연구에 대한 고찰
이 논문은 탈놀이 연구자로 잘 알려진 김일출(金一出, 1911-?)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동북제국대학(東北帝國大學) 학적부를 발굴해 그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생년월일, 새로운 학력, 가족의 만주국 이주 사실을 밝혔고, 과학원에서 간행된 ‘민속학연구총서’의 실상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선행연구에서는 월북 이후 김일출이 탈놀이 연구와 고대사 연구를 병행한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해 본문에서는 김일출의 탈놀이 및 고대사 연구가 역사민속학의 일환에서 수행된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김일출이 1953년경부터 과학원 민속학연구실 연구사로 근무하며 역사민속학 연구를 마무리하고, 1957년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농촌의 변화를 기술하는 ‘현재를 다루는 민속학’(현재민속학)을 모색하였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