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군시대 북한의 민족적 감성-2000년대 『조선예술』에 수록된 민요풍 노래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혹은 강요된 민족적 감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0년대 창작되거나 소개된 민요풍 노래를 가사가 갖는 내용에 따라 선군영도와 군민일치, 농업, 강성대국건설, 김정일 가계 찬양, 통일, 그리고 여성을 주제로 한 노래들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민요풍 노래의 가사와 음계, 선율진행, 리듬 등에서 기쁨과 흥겨움, 미래에 대한 낙관과 희망의 감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2000년대 북한의 대외정치와 인민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민요풍의 노래를 통해 현재의 기쁨과 미래에 대한 낙관을 노래함으로써 2000년대 정치구호였던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를 실현하려고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선군시대 북한의 민요풍 노래에는 당시의...
[학술논문] 북한의 천리마운동시기 음악적 감성 ― 노래집『풍어기 휘날리자』를 중심으로 ―
...증산과 어로공들을 위한 노래를 만들 것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1962년 2월에는 1950년대의 40만 톤에서 수산물 80만 톤이라는 목표량을 설정하고 계속 매진하도록 독려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작가들은 바다가 무서운 곳이 아니며, 젊은 사람들이 나아가 꿈을 실현하는 무대라고 선전하였고, 더 많은 물고기를 잡으라고 경쟁을 촉구하였다. 가사에서는 미래에 대한 낙관과 희망, 청춘의 노력, 만선하여 귀항하는 어로공들의 기쁨, 흥겨움, 환영의 분위기를 전하고 있으며, 음악적으로는 씩씩하고 경쾌한 리듬과 흥겹고 약동적인 선율, 그리고 낙천적이고 서정적인 느낌이 들도록 음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성들의 노동력까지도 요구하면서 노래집에는 여성들을 위한 노래를 삽입해 놓지 않아 북한의 이중적인 성향을 엿볼 수 있다.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문학정서 연구
...민요에 비해 더욱 시적이며, 많은 노래들이 가사와 음악이 정서적으로 같은 시기 대중가요와 달리 밝고 명랑한 것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출발이 일제 학정의 일제강점기이니 만큼 신민요는 불쾌 정서를 말끔히 극복하지 못해 실패감, 아쉬움, 회한, 원망, 비통, 고뇌, 그리움, 슬픔, 체념 등을 통해 표출되는 不快 情緖와 긍정, 애착, 즐거움, 희망, 예찬, 흥겨움, 여유로움 등을 통해 표출되는 快 情緖가 혼재해 있는 양상이다. 신민요는 당시 한민족의 망국의 설움과 민족적 저항의 정서를 암유한 채 한국 전통음악에 뿌리를 내리고 선조들의 맥박과 숨결을 이어나가는 역사적인 사명과 역할을 충분히 이행했다. 신민요의 밝고 경쾌한 정서와 역사정신은 일제치하의 참혹한 현실 대응과 저항의 방법이었고,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절망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