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스라엘의 복합전 경험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含意)
...비정규전 유형과는 달리, 복합전은 비(非)국가 집단, 중소국가를 비롯한 군사적 약자가 강자에게 정치적 의지, 요구를 강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重)무장 재래식 군사력의 제한적·적극적인 운용을 강조한다. 2006년 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가 이스라엘 영토에 대규모의 로켓 공격을 가하고, 이스라엘 육군의 진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에 충격을 받은 이스라엘은 복합전 대응 능력의 확보, 발전을 위한 일련의 군사적 개혁을 단행하였고, 그 결과 2008~2009년 가자 전쟁에서 하마스를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복합전 경험은 한국이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전을 통해 가시화된 북한의 복합전 위협을 억지, 격퇴할 수 있는 군사력의 건설, 발전을 추구하는...
[학술논문]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 : 새로운 전쟁 양상?
북한은 하이브리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전형적인 국가이다. 하이브리드 전쟁이론은 2006년의 제2차 레바논 전쟁을 계기로 등장하여 최근의 전쟁과 미래전쟁을 이해하는 개념 틀로 자리 잡았다. 하이브리드 전쟁은 기존의 정규전과 비정규전의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테러행위, 범죄행위, 그리고 사이버 공격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작전들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전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기존의 ‘제4세대전쟁’이나 ‘복합전쟁’ 이론 보다 발전된 전쟁에 대한 담론이다. 특히 최근의 IS의 행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의미 있는 개념적 틀을 제공해준다.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과 세계화로 인해 불확실하고 복잡한 안보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약자로 분류되던 국가나 비국가 단체들도 자신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