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창극사를 통해서 본 해방공간 창극 연구
...등을 하고, 뒷과장에서 창극을 했다. 그래서 <춘향전>이면 그것을 3일에 걸쳐 나눠서 했다. 창극은 그런 식으로 시작된 것이다. 1934년 ‘조선성악연구회’가 만들어지고, 이 단체에 의해 비로소 1936년부터 <춘향전>, <흥부전>, <배비장전>, <유충렬전> 등과 같은 작품을 한 번 공연에 모두 공연하는 이른바 ‘전편(全篇) 창극’이 이뤄졌다. 이때는 김창환을 이어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등 근대의 5명창들이 창극을 주도했다. 1919년 3・1운동 뒤의 일제의 이른바 문화정치와 그 뒤를 이은 1930년대의 전통문화 운동이 일어나던 때였다. 창극이 나름대로 일정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학술논문] 대한민국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3·1운동 표상화(1949~1987)
...후 1987년까지 역대 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 3·1운동 표상화의 역사적·정치사회적 의의를 살펴본다. 이승만 정부는 1949년 대한민국이 유엔의 승인을 받아 독립국가가 되고 처음 3·1절을 맞았다고 선언했다. 정부는 초기부터 3·1절 기념식을 지휘하며 국가 독점의 기억을 강요했다. 이때의 3·1절 기념의례의 방식은 권위국가하에서 거의 그대로 재현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3·1정신을 ‘자유민주주의’와 ‘반공통일’의 표상으로 轉用·專有했다. 박정희 군사정부가 들어서고 3·1절 기념식은 축소되었다. 정부의 3·1절 기념식이 계속 서울시 주최로 개최되고...
[학위논문]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 당하자 ‘식민지배아래 변호사가 무슨 뜻이 있느냐’ 며 낙향해 사실상 은둔의 생활을 보냈다. 1919년의 「3·1 운동」은 만 34세의 허헌을 대표적 항일변호사로 만들어 주었다. 그는 일제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법 이론으로「3·1 운동」의 지도자들을 변호해 일제를 당황케 했다. 이 三一運動 재판에서 유명한 控訴不受理申立事件(공소불수리 신립 사건)으로 왜놈 사법 당국에 일격을 가했으며,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그의 첫째 아들 허영욱은 2015년 『나의 아버지 허헌』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북한에서의 허헌의 업적을 그의 사망에 이르기까지 상세히 그려놓고 있다. 허헌의 첫째 아들 허영욱은 북한(北韓)의 대남사업 부서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학술논문] 대한민국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 3·1운동 표상화(1988~2017)
6월항쟁 후 1988년부터 2017년까지 30년간 대한민국정부의 3·1절 기념의례와 3·1운동 표상화를 역사적·정치사회적으로 파악한다. 노태우·김영삼 정부는 3·1절 기념의례를 통해 권위주의 탈각을 시도했으나 이를 통한 민주화는 제한적이었다. 서울올림픽 개최, 사회주의권 붕괴 등의 상황에서 노태우 정부와 ‘문민정부’는 3·1정신을 ‘민족통일’과 ‘자유민주주의’로 표상화했으나, 군사정부에서 민간정부로 가는 과도기에 이는 空轉하는 양상을 띠었다. 그런 가운데 3·1운동의 표상은 정치·경제 ‘부패와의 전쟁’, 노사갈등과 경기침체...
[학술논문]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주요 통사류의 관련 서술 분석-
...운동사에서 3・1운동을 어떻게 그려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북한 역사학이 3・1운동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체계화하여 전체적인 역사 서술 속에 위치 지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이다.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은 유물 사관에 충실한 건국 초기,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한 1960년 전후, 평양의 운동과 김일성 가계의 활약에 주목한 1980년대 이후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에 보이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역사학은 3・1운동을 끝으로 1910년대 부르주아 민족운동 시기가 막을 내린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북한 역사학은 3・1운동의 발생과 전개에서 노동자, 농민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노동자계급의 미성숙을 운동이 실패한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3・1운동의 국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