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차원 모델링을 활용한 북한 무산광산일대의 자원량 및 생산량 추정
...MSS, ASTER 위성영상자료와 수치지형도를 통해 1976~2007년 사이의 자원량과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한 무산광산의 넓이는 1976년을 기준으로 총 약 6.1 km2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광산 내 채광지의 크기는 지도대수기법을 통해 4.9 km2로 산정되었다. 또한, 산정된 채광지 내 약 3.2억 m3의 체적을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산출한 후, 무산광산과 동일한 암상으로 간주되는 중국 안산층의 철광석 평균밀도와 연산하여 약 7.3억톤의 자원량과 약 2.4억 톤의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이 수치는 연 평균 810만 톤 수준의 생산량으로, 기존에 보고된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한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남북자원교류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이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논문] 3차원 중력 모델링에 의해 예측된 황해 북부 서한만 분지 석유 저류층의 공간적 분포
...지금까지 수행된 지질 및 지구물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한만 퇴적분지의 3차원적인 밀도 구조를 밝혀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서한만 분지 중, 2 군데의 지역에서 약 2,000 kg/m3의 매우 낮은 밀도를 특징으로 하는 저밀도 지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이 지역 퇴적분지 내에 석유 부존자원이 존재할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 곳은 서한만 중앙분지(Central basin) 남쪽 지역 약 3,000 m 깊이 백악기/쥐라기(Cretaceous/Jurassic) 층 속에 존재하며 그 부피는 약 250 km3으로 판단된다. 다른 곳은 중앙분지의북쪽 지하 약 2,500 m에 위치하며, 그 부피는 약 300 km3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확보한 서한만 분지의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는...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결과 경제, 정체, 북한관광, 한반도관광, 사회·문화, 남북문제를 중심으로 범주화가 되었으며, 지각적 범주화는 특정 텍스트를 매개로 범주화된 토픽 간 연결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Push-Pull이론에 근거하여 제한적 목적지인 북한의 관광 동기촉진 이미지 차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북한관광에 대한 동기를 촉진하는 추진요인(Push Factor) 신기성 차원, 모험심 차원, 사회성 차원, 향수성 차원 및 즐거움 추구 차원, 학습/발견 차원 등 6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관광동기 촉진의 유인요인(Pull factor)에 대한 분석결과, 역사문화 추구가치, 관광자원 체험가치, 이질문화 경험가치 및 문화교류 추구가치 등 4개 차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