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본고는 기존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았던 「제주도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와 판결문 등 대중운동 및 무장투쟁의 주체와 관련된 사료를 중심으로 4·3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의 실상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글이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결과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한 제주4·3사건의 전개 양상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였고 많은 새로운 사실을 발굴할 수 있었다. 1947년 ‘3·1사건’ 이후 전개된 각 지역별 대중운동, 1948년 ‘2·7투쟁’의 새로운 실상을 정리하여 4·3무장봉기의 발발 배경을 이해하였다. 무장봉기 결정 과정에서 경비대 9연대원 동원과 제주읍내 공격으로써 제주도...